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6년 만에 적자 낸 한전... '전기료 인상' 카드 만지작

알림

6년 만에 적자 낸 한전... '전기료 인상' 카드 만지작

입력
2019.02.22 18:04
수정
2019.02.22 21:45
7면
0 0

원유•유연탄 등 가격 상승에

정비 탓 원전 이용률 떨어지며

비싼 LNG로 대체해 비용 증가

한전 “탈원전 정책과는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전력공사의 지난해 경영실적이 6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연료비 상승과 원자력발전소 이용률이 하락한 탓에 영업이익에서 2,000억원 이상 적자를 기록했다. 한전 측은 비용 절감 등으로 경영난 해소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이를 계기로 요금체계 개편을 주장해왔던 한전이 전기요금 인상 움직임에 나설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전은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2,08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고 22일 밝혔다. 매출(60조6,276억원)은 전년보다 1.4% 늘었으나, 영업이익이 2017년(4조9,523억원)과 비교해 큰 폭(5조1,612억원)으로 줄면서 적자를 피할 수 없었다. 한전의 영업이익 적자는 국제유가가 치솟았던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는 전력구입비 상승이 우선 거론된다. 한전은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자회사가 만든 전기를 사서 판매하는데 전기료가 고정돼 있어 원유ㆍ유연탄 등 전기생산비용이 오르면 수익이 자연히 악화할 수밖에 없다. 원유 가격이 지난해 69.7달러로 전년 대비 30% 치솟았고, 유연탄과 액화천연가스(LNG) 가격도 각각 21%, 16% 오르면서 타격을 줬다는 게 한전 측 설명이다. 실제 민간발전회사들이 한전에 판매하는 전력시장가격도 16.4% 뛰었다.

지난해 원전 가동률이 떨어진 것도 이유 중 하나였다. 원전 원자로를 감싸고 있는 격납건물에서 공극(빈 공간), 철판 부식 등이 발견되면서 지난해 멈춘 원전이 많아졌다. 통상 80% 안팎으로 유지됐던 원전 이용률이 지난해 65.9%까지 떨어지면서 연료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LNG에 대한 전력구입비용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한전 관계자는 “지난해 발전자회사의 연료비 부담이 전년보다 3조6,000억원, 민간발전사에게서 산 전력구입비용도 4조원 증가했다”고 했다. 설비투자 확대에 따른 감가상각비(4,000억원)까지 합하면 지난해 증가한 영업비용(전년 대비)만 8조원에 달했다는 것. 기록적인 폭염으로 여름철 전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지난해 전기판매수익이 전년보다 2조2,000억원 늘었지만 영업비용이 이를 크게 웃돌면서 적자를 피하기 어려웠다는 얘기다.

한국전력공사 영업실적. 그래픽=신동준 기자
한국전력공사 영업실적. 그래픽=신동준 기자

한전은 특히 경영악화가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는 일각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박형덕 부사장은 “연료가격 상승과 전력구입비 증가가 적자 원인의 82%, 원전 이용률 하락은 18% 영향을 끼쳤다”고 했다. 정비가 마무리되면서 원전 이용률이 올해 77.4%까지 회복될 전망인데, 이렇게 되면 한전의 경영실적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전의 경영난 해소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한다. 소매가격(전기요금)이 도매가격(전력구매단가)을 반영하지 못하는 현행 요금체계 개편이 선행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 한전은 지난해 원가 이하로 판 전기가 4조7,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종수 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전력구매단가가 오르면 전기요금도 따라 바뀌는 도매가격연동제 도입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김종갑 한전 사장도 “콩(원료)이 두부(전기)보다 비싸다”며 원가를 반영하지 못하는 요금체계 개편을 주장했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기요금 누진제 태스크포스(TF)에선 전기요금 현실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다음 달까지 개편안을 마련해 6월까지는 전기요금 개편을 마무리할 계획. 저소득 가구 지원을 위해 도입했던 필수사용량 보장공제와 누진제 1구간 폐지 등 요금제를 현실화(인상)하되, 취약 가구를 추가 지원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