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자선 목적 아닌 비자금 통로” 의혹... 트럼프 재단, 해산에 착수

알림

“자선 목적 아닌 비자금 통로” 의혹... 트럼프 재단, 해산에 착수

입력
2018.12.19 15:01
수정
2018.12.19 20:51
18면
0 0

지난 6월 자금유용 혐의 기소

검찰 “놀라운 불법성 보여”

트럼프도 해산에 동의한 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레이스를 벌이던 2016년 1월 트럼프 재단 자금으로 기부하는 행사를 하던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레이스를 벌이던 2016년 1월 트럼프 재단 자금으로 기부하는 행사를 하던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및 사업 비자금 통로로 활용됐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도널드 J. 트럼프 재단’이 해산한다고 뉴욕주 검찰이 18일(현지시간) 밝혔다. 러시아 스캔들과 측근 비리 등 각종 수사로 압박을 받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또다시 체면을 구긴 셈이다.

바버라 언더우드 뉴욕주 검찰총장은 이날 트럼프 재단이 해산하고 잔여 자산은 다른 비영리단체에 나눠 주기로 재단 측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현재 트럼프 재단에 남은 자산은 175만달러(약 20억원)이며 재단 해산에는 트럼프 대통령도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언드우드 총장은 트럼프 재단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비즈니스와 정치적 이해에 봉사하기 위한 '수표'(checkbook)에 지나지 않았다"면서 “놀라운 불법성의 패턴을 보여왔다”고 비판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승리 후 이해충돌 방지 차원에서 재단을 해산하겠다고 밝혔으나, 뉴욕주 검찰은 재단 비리 조사를 위해 해산 절차를 막고 1년 6개월 이상 수사를 벌여 지난 6월 자금 유용 혐의로 이 재단을 기소했다. 기소 대상에는 재단 관계인이자 트럼프 대통령의 자녀인 이방카, 트럼프 주니어, 에릭도 포함했다. 당시 검찰은 재단이 트럼프 대통령의 사업상 분쟁을 해결하거나 골프장을 재단장하고 2016년 대선 관련 행사를 벌이는 데 기금을 반복적으로 유용했다면서 280만달러의 벌금과 배상금을 부과하고 트럼프 일가가 10년 동안 뉴욕 지역 비영리 기구를 운영하지 못하도록 할 것을 요구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재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형 초상화 2개를 각각 2만달러와 1만달러에 구입해 트럼프 대통령이 운영하는 골프 클럽에 걸어놓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87년 설립한 이 재단을 통해 자선 사업가의 이미지를 구축해 왔다.

이에 대해 재단측 변호사인 앨런 퓨터파스는 “재단이 모금한 돈은 모두 자선 사업용으로 지출됐다”며 “최종 재판 결과를 자신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재단이 지금까지 1,900만달러를 자선 사업으로 지출했으며 이중 트럼프 대통령이 기부한 돈이 825만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 검찰이 재단을 기소했던 지난 6월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추잡한 뉴욕 민주당원들, 그리고 지금은 망신당해 (쫓겨난 전 뉴욕 검찰총장) 에릭 슈나이더만이 1,880만달러를 벌어 그 보다 많은 1,920만달러를 기부한 재단을 놓고 나를 고소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짓을 하고 있다"며 이 사건을 처음 수사한 슈나이더만 전임 뉴욕주 검찰총장을 맹비난한 바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초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플린은 이날 진행된 러시아 스캔들 재판에서 판사로부터 ‘나라를 팔아먹은 행위’라는 비난을 들을 정도로 궁지에 몰렸다. 로버트 뮬러 특검이 수사 협조를 이유로 ‘플린에 대한 실형 선고를 배제해달라’고 호소했지만, 재판부는 “형량을 악화시킬 요소도 고려할 것”이라고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워싱턴=송용창 특파원 hermee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