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5년간 화재 사망자 70% 주거시설에서 발생

알림

5년간 화재 사망자 70% 주거시설에서 발생

입력
2018.12.11 11:14
수정
2018.12.11 11:39
0 0

참변 장소는 단독주택 58%, 공동주택 39%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지난 9월 서울 은평구의 한 다세대 주택에서 진행한 ‘실물화재 재현실험’ 도중 발생한 검은 연기가 건물 밖으로 뿜어져 나오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지난 9월 서울 은평구의 한 다세대 주택에서 진행한 ‘실물화재 재현실험’ 도중 발생한 검은 연기가 건물 밖으로 뿜어져 나오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최근 5년간 화재 사망자 중 70%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 중 58%는 단독주택에서, 39%는 공동주택에서 변을 당했다. 소방 설비가 잘 갖춰지지 않은 단독주택이 화재에 더 취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최근 5년간(2013~2017년) 화재 2만9,803건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총 사망자 171명을 포함해 총 사상자는 1,342명, 총 재산 피해액은 853억원이라고 11일 밝혔다. 사망자 중 주거시설 사망자는 120명으로 70.2%를 차지했다. 이어 판매 및 업무시설 22명(12.9%), 산업시설 10명(5.8%), 생활서비스 시설 8명(4.7%), 기타 서비스시설 8명(4.7%) 등이었다.

주거시설 사망자 120명 중 단독주택 사망자가 67명(58%), 아파트 47명(39%)이었다. 나머지 6명은 컨테이너 주택이나 샌드위치 패널에서 거주하다 화재로 숨졌다.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1만1,983건으로 전체의 40.2%를 차지했다. 사망자를 포함한 사상자는 전체의 54.9%인 737명(사망 120명, 부상 617명)이었다. 주거시설 화재 16.3건당 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셈인데 이는 전체 화재 평균(22.2건당 1명)보다 1.4배 높은 수치다.

주거시설 화재의 58%(6,897건)는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했다. 아파트가 3,355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세대주택이 2,382건으로 뒤를 이었다. 다가구를 포함한 단독주택 화재는 4,935건이 발생해 주거시설 화재의 41.2%를 차지했다.

올해 기준으로 살펴보면 주거시설 화재는 10월 말까지 2,334건이 발생해 전체(5,372건)의 43.4%를 차지했다. 작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9%로 전체 화재 증가율(7.6%)을 웃돌았다. 올해 주거시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172명(사망 25명, 부상 147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사망은 9명(56.3%), 부상은 41명(37.8%) 증가했다. 인명피해 증가율 역시 전체 평균보다 많았다.

주거시설 화재는 불이 났을 때 조기에 인지하는 게 중요하지만, 탐지 설비가 미비한 경우가 많다. 사망자 비율이 높은 단독주택은 스프링클러나 소화기 등 소방 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고, 자동화재탐지설비 의무 설치 대상도 아니라 더욱 취약하다는 게 소방재난본부의 설명이다.

공동주택의 경우 2015년 1월 개정된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연기 감지기를 설치해야 하지만 대부분 탐지 속도가 느린 열 감지기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시 소방재난본부 실험 결과 불꽃이 나는 화재의 경우 열감지기의 감지 속도가 연기감지기보다 2분 느렸고, 불꽃 없이 연기만 내며 타는 훈소 화재는 아예 감지하지 못했다.

올해 7월 3명의 사상자를 낸 송파구 아파트 화재의 경우 열감지기가 설치돼 있었으나 초기 훈소 화재를 감지하지 못해 대응이 늦어졌다. 소방재난본부는 "2015년 1월 이전에 지은 아파트는 세대별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해달라"고 당부했다.passi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