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아프리카에 ‘민주화의 봄’ 온다

알림

아프리카에 ‘민주화의 봄’ 온다

입력
2017.01.24 19:09
0 0

감비아 자메 대통령 축출

23년 장기 집권에도 권력 집착

선거 패한 후 계엄령 선포 버티자

세네갈 등 서아프리카연합 나서

“군사 개입 불사” 압박 굴복시켜

교육·SNS 타고 민주화 바람 확산

阿 주민 3분의 2 “민주주의 선호”

야흐야 자메 전 감비아 대통령이 퇴진 합의 후 21일 적도 기니로 망명하기 위해 수도 반줄 공항에서 전세기에 올라타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야흐야 자메 전 감비아 대통령이 퇴진 합의 후 21일 적도 기니로 망명하기 위해 수도 반줄 공항에서 전세기에 올라타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우리가 감비아 국민을 좌절시킨다면 아프리카 전체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

은코사자나 주마 아프리카연합(AU) 의장은 야흐야 자메 전 감비아 대통령의 대선 불복 사태에 직면한 지난 1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정권 교체를 열망하는 감비아 사회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던 주마 의장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지 않았다. 그의 트위터 글 게재 이후 AU와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 등 최근 강력한 민주주의 의지를 내비치는 지역 기구들이 일제히 자메 전 대통령에 압박을 가했고 20일 자메는 마침내 퇴진, 23년의 감비아 장기 독재에 마침표를 찍었다.

아프리카 독재 지도자들이 수십 년간 이어온 장기집권의 횡포 끝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내에서도 가장 급속히 민주화를 이뤄내고 있는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 진단했다. 과거 독재자들이 독버섯처럼 자리하고 있던 아프리카 대륙이 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우고 있다는 것이다.

자메 대통령의 퇴진은 나이지리아, 가나 등 앞서 민주화 노력을 쏟아온 국가들에 이어 아프리카 민주주의 증진의 본격적인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아프리카 민주 국가들은 이번 감비아 사태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자메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대선에서 야권 지도자 아다마 바로우에 패배하고서도 선거 무효를 주장하자 모하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 엘렌 존슨 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 등으로 구성된 AU 사절단이 감비아를 방문해 압박에 나섰다. 이어 자메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르자 세네갈, 나이지리아, 가나 등 15개 국가로 이뤄진 ECOWAS는 퇴진 불응 시 군사개입을 불사하겠다고 최후통첩을 보냈다. 자메 대통령은 이에 굴복해 퇴진을 합의, 21일 가족과 적도 기니로 망명길에 올랐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공조에는 각국의 민주화 역사가 뒷받침됐다는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ECOWAS를 이끄는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2015년 3월 과거 군정 종식 이후 16년간 장기집권한 인민민주당(PDP)을 꺾고 당선된 인물이다. 존슨 설리프 대통령은 2011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25년의 라이베리아 내전을 종식시키고 당선됐다. 마찬가지로 AU 사절단에 합류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또한 지난해 3월 재임 기간 축소를 위한 국민투표를 단행했다.

지도부뿐 아니라 아프리카 내 민주주의 옹호 여론도 들끓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아프로바로미터’가 35개 이상 아프리카 국가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14~2015년 기준 응답자 3분의 2 이상이 민주주의 체제를 “언제나 선호한다”고 답해 독재나 일당 체제를 지지하는 비율(11%)을 크게 앞섰다.

민주주의에 대한 아프리카 국민의 열망에는 교육 수준 향상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주된 동력으로 작용했다. 수단 출신으로 영국 통신사 셀텔 창업자인 모 이브라힘은 “새로운 세대는 과거보다 더욱 교육 수준이 높은 데다 SNS가 여론 확산의 훌륭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며 “민주주의 등 변화를 일궈낼 거대한 동력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프리카에서 독재의 그늘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물론 아니다. 세계 최장 집권 지도자 10명 중 7명이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30년 집권),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대통령(36년 집권) 등 아프리카 출신이다. 부룬디와 르완다 정부는 최근 대통령 재임 연한을 늘리는 개헌을 강행했다.

김정원 기자 garden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