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단독] 조국펀드 투자사, 와이파이 수주전 때 금품로비 공방

알림

[단독] 조국펀드 투자사, 와이파이 수주전 때 금품로비 공방

입력
2019.09.05 04:40
수정
2019.09.05 18:38
1면
0 0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권 입찰 관련 경쟁사서 ‘공무원 로비 의혹’ 폭로

진흙탕 싸움 4차례 입찰 취소ㆍ유찰…결국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방배동 자택을 나서고 있다. 2019.9.3 / 뉴스1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방배동 자택을 나서고 있다. 2019.9.3 / 뉴스1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실상 ‘가족펀드’를 운용한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가 주축이 된 컨소시엄이 서울지하철 공공 와이파이 사업권 수주전을 벌이는 와중에 ‘서울시 공무원 상대 금품 로비’ 공방까지 벌어졌던 것으로 확인됐다. 코링크PE가 투자자문을 맡은 ‘PNP플러스 컨소시엄’은 2016년 수주전에서 여권 관계자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이런 컨소시엄이 경쟁 입찰사와 로비 의혹을 놓고 진흙탕 싸움을 벌인 끝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것을 두고 “애초 조국 펀드 투자 기업에 사업을 몰아주려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4일 한국일보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서울시 공공 와이파이 2차 입찰(2016년 6월 14일)을 앞두고 PNP플러스와 경쟁 상대방인 A컨소시엄 사이에 ‘공무원 상대 금품 로비 의혹’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먼저 의혹을 제기한 쪽은 A컨소시엄의 B씨. B씨는 서울시에서 사업을 추진하던 2014년 말쯤 PNP플러스 대표 C씨가 자신에게 당시 서울시 고위 공무원과 서울도시철도공사 및 서울메트로 관계자 다수를 특정하며 ‘금품’ 전달을 요청했다고 폭로했다. B씨는 과거 PNP플러스에 몸을 담고 함께 사업을 추진했으나 A컨소시엄으로 이적한 뒤 1차 입찰부터 PNP플러스와 맞붙었다.

B씨는 이런 폭로 내용과 함께 ‘자금지원이 가능한지 알려달라’며 은행 계좌 사본을 동봉해 보낸 C대표의 메시지를 다수의 서울시 공무원에게 이메일로 보내기도 했다. 그러자 C대표는 B씨와 마찬가지로 서울시 공무원들에게 반박 입장을 이메일로 보내는 등 맞대응에 나섰다. C대표는 메시지에 등장한 ‘자금지원’은 공공 와이파이 사업 진행 과정에서 잠시 경제 여건이 어려워져 도와줄 수 있느냐고 B씨에게 물어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B씨가 100만원을 보냈다는 입출금 내역도 공개했다. B씨가 지목한 서울시 고위 공무원들과 통화는 물론 일면식도 없다는 주장까지 했다.

이런 공방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2016년 4월 ‘서울지하철 통신서비스 수준 향상 사업공고’ 를 냈다. 하지만 PNP플러스의 단독 입찰로 이 사업은 유찰됐다. 국가계약법 시행령에 따르면 국가기관이나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사업의 경우 2인 이상의 유효한 입찰자가 없을 경우 유찰을 시켜야 한다. 당시 사업 참여를 준비하던 한 업체 관계자는 “이 사업을 무조건 빨리 진행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서울시 안팎으로 흘러 나왔다”고 전했다. 단독 입찰자인 PNP플러스에게 사업을 몰아주기 위해 사실상 압박을 가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다. 실제 서울시는 1차 공고가 유찰된 지 나흘만인 2016년 6월 14일 2차 입찰 공고를 냈다.

그러나 서울시는 PNP플러스를 제외한 다른 기업들이 사업 수익성을 우려해 입찰을 주저하자 사업 조건 변경을 검토했다. 시설 투자 비용이 1,200억원 이상 예상되는 상황에서 점용료를 연간 100억원씩 10년간 서울시에 납부하면 사업에 참여할 만큼 수익을 기대하기 쉽지 않은 구조였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공공성이 강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점용료를 받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점용료 1,000억원 대신 수익이 발생하면 이를 일정 비율로 배분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 계획은 곧 ‘없던 일’이 됐다. 사업 담당자는 “검토한 것은 사실이지만 공공시설을 점유하는 부분에 대한 비용을 받아야 한다는 원칙 때문에 기존의 조건으로 돌아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차 입찰은 자연스럽게 무산되고 말았다.

이후 서울시는 2016년 9월 3차 입찰에 나섰다. PNP플러스는 3차 입찰에도 참여했지만 공교롭게도 로비공방을 벌였던 B씨의 A컨소시엄에 밀려 탈락하고 말았다. 그러자 서울시는 4개월 동안 비정기 감사를 진행해 A컨소시엄의 입찰을 취소했다. 제안서를 전면 재평가하라는 서울시의 결정에 A컨소시엄이 반발하자 아예 없던 일로 만들어버린 것이다. 당시 입찰을 준비하던 한 업체 관계자는 “당시 서울교통공사 담당자로부터 ‘우리는 서울시가 미는 대로 할 수밖에 없는 처지’라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2017년 9월 PNP플러스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당시엔 조 후보자 가족 펀드가 투자한 웰스시앤티가 PNP플러스에 25억원을 투자한 상태를 확약한 이후였다. 이를 두고 야권에서는 “컨소시엄이 처음부터 사업 자체보다는 수주에만 관심을 가졌고, 이에 서울시가 장단을 맞춘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A컨소시엄과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 끝에 PNP플러스가 따낸 우선협상대상 계약은 서울시가 기술 부족 등을 이유로 최종 파기를 선언하면서 휴지 조각이 되고 말았다.

박진만 기자 bpbd@hankookilbo.com

이상무 기자 allclear@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