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 증가·건강 개선 덕분 유병률↓
환자 수는 증가, 2044년 200만 명 진입
여성·고령·1인 가구·농어촌서 치매 위험
환자 가족 돌봄 부담 경감 대책 강화해야

치매 환자를 퍼즐로 비유한 이미지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치매 환자가 요양병원에 가기 전 가족돌봄 기간이 2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는데, 85세 이후엔 여성 치매가 남성보다 두 배 넘게 많았다.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기억력, 언어능력이 저하돼 치매로 악화할 위험이 있는 경도인지장애 진단 비율도 28%에 달했다.
고령화로 치매 환자 지속 증가
보건복지부는 13일 치매 유병률과 발병 위험 요인을 분석한 ‘2023년 치매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6년 이후 7년 만에 실시된 전국 단위 대규모 조사로, 60세 이상 인구 표본을 산출해 인지선별검사를 한 뒤 위험군별로 치매진단검사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2023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비율(치매 유병률)은 9.25%로 2016년 조사(9.50%)보다 0.25%포인트 감소했다. 1차 베이비붐(1955~1963년) 세대가 노년기에 진입해 노인 인구가 2016년 678만 명에서 2023년 946만 명으로 268만 명 증가하는 등 모집단 규모가 커지면서 유병률을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된다.
또 고등학교 졸업 이상 학력을 지닌 노인 비율이 2017년 24.8%에서 2023년 38.2%로 올라가는 등 교육 수준이 향상되고, 치매 위험 요인인 음주율(10.6%→7.8%) 흡연율(10.2%→9.4%)이 줄어 건강 상태가 개선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치매 발병률과 상관관계가 있는 심뇌혈관 질환 사망률(45세 이상) 또한 뇌졸중은 2008년 14.2%에서 2022년 10.3%로, 허혈성심질환은 같은 기간 8.7%에서 5.7%로 각각 감소했다.

2016년과 2023년 치매 환자 수 추이 전망치 비교. 보건복지부 제공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2%로 조사됐다. 2016년(22.25%) 대비 6.17%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진단 기준이 세분화되고 치매 조기 검진이 활성화되면서 치매로 악화하기 이전 단계에서 진단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다만 인구 고령화로 치매 환자 수 자체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올해 치매 환자 97만 명(유병률 9.17%)을 기록한 데 이어 내년에는 100만 명대에 진입히고, 2044년에는 20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됐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도 빠르게 증가해 올해 298만 명(유병률 28.12%), 2033년 400만 명으로 추산됐다.
혼자 사는 여성 노인, 치매 위험 커
고령, 여성, 독거가구, 농어촌 거주, 교육 수준이 낮은 경우 치매에 더욱 취약했다. 치매 유병률은 75세부터 급격히 상승해 85세 이상 연령대에선 5명 중 1명(21.18%)이 치매 환자였다. 또 65~79세는 남성 유병률이 더 높지만 80세부터는 여성 유병률이 급격히 올라가 85세 이상 연령대에선 여성 28.34%, 남성 11.36%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80세 이상 여성 치매 유병률은 성별 통계에도 영향을 미쳐 전체 여성 노인 치매 유병률이 9.57%로 남성 8.8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성별 치매 유병률. 보건복지부 제공
또 배우자와 함께 지내거나(유병률 4.9%) 배우자 및 다른 동거인이 있을 때(5.2%)보다 혼자 살 때(10%) 치매에 걸리기 쉬웠고, 도시(동 5.5%, 광역시 3.8%)에 비해 농어촌 지역(도 8.5%) 유병률이 높았다.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치매 위험이 컸는데, 무학은 유병률이 21.3%인 반면 고졸은 2.6%, 대학 졸업 이상은 1.4%로 매우 낮았다.
치매 환자 돌봄 부담 경감 대책 필요
치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별도 실태조사에서는 치매 환자 절반 이상(52.6%)이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가구 27.1%, 자녀 동거 가구 19.8% 순이었고, 중증도가 높으면 자녀 동거 가구 비율이 75.0%로 크게 올라갔다. 요양병원(시설) 입원 전 가족 돌봄 기간은 평균 27.3개월로 2년이 훌쩍 넘었다.
집에서 생활하는 환자의 가족 절반(45.8%)은 돌봄 부담을 호소했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경제적 부담(지역사회 38.3%, 시설·병원 41.3%)을 꼽았다.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지역사회 1,733만9,480원, 시설·병원은 3,138만1,940원이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6~2030년)을 수립할 계획이다. 치매안심센터(보건소) 역할을 강화해 치매 조기 발견, 예방, 초기 집중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독거 및 부부 치매 등 돌봄 사각지대 환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한다. 또 중증 수급자의 재가급여 월 한도액을 시설입소자 월 한도액 수준으로 인상한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선제적으로 치매를 예방하고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