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학년도 수능 시험·점수 체계 발표]
사회·과학 탐구 문항 늘고 배점 삼원화
부담 덜한 과목 택하는 현행 전략 불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지난해 11월 14일 서울 서초구의 한 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이 문제를 풀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올해 고등학교 신입생이 치를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탐구 영역의 문항 수가 늘어난다. 또, 배점도 이원화(2점과 3점) 체제에서 삼원화(1.5점, 2점, 2.5점)되면서 변별력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탐구 영역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8학년도 수능 시험·점수 체제'를 20일 발표했다.
우선 탐구 영역에서는 '사회·과학탐구'의 선택과목을 폐지하고 문·이과 구분 없이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공통으로 치른다. 이전에는 수험생이 17개 선택과목 중 2개를 골라 시험 보는 방식이었다.
시험 과목이 변화함에 따라 문항 수와 시험 시간도 달라진다. 사회·과학 두 과목 각 25문항을 40분 안에 풀어야 하며 문항별 배점은 1.5점, 2점, 2.5점으로 구분해 출제한다. 이전에는 탐구 영역 한 과목당 20문항을 30분 내에 풀어야 했다. 또 2점짜리와 3점짜리 문제만 있었다.

2028학년도 수능 영역별 문항 수 및 시험 시간. 교육부 제공
사회와 과학 영역이 통합 출제되고 문항 수도 늘어나면 출제 범위는 지금보다 넓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의 공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수험생들이 사회탐구 선택 과목 9개 중 사회문화, 생활과윤리 등 부담이 덜한 과목을 집중적으로 응시했고 과학탐구 8개 과목에서도 지구과학1과 생명과학1 등을 주로 택했다. '선택과 집중'이 가능했다는 얘기다. 문항이 늘어나면 지엽적인 문제가 출제될 수도 있다.
탐구영역 배점을 세분화한 것도 입시에서 큰 변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금까지는 수학과목만 배점이 삼원화돼 있었고 나머지는 이원화 체제였다"면서 "문항별 점수 구분이 쪼개진다는 건 그만큼 변별력이 높아진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문항 수가 적으면 오히려 한 문항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도 있다"며 "다양한 소재와 난이도의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제2외국어·한문은 문항 수 줄어… 국영수는 동일
국어와 수학은 기존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구분이 사라지고 통합된다. 국어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이 통합 출제되고, 수학도 문·이과 구분없이 ‘대수’ ‘미적분Ⅰ’ ‘확률과 통계’ 등 3개 과목에서 통합 출제된다. 미적분I에는 수열의 극한, 미분법 등이 빠져 현재 문과생들이 보는 수준으로 개편된다. 다만 국어 문항 수와 시험 시간(45문항·80분), 수학 문항 수와 시간(30문항·100분)은 그대로 유지된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0문항을 30분 내에 풀게 된다. 기존에는 30문항을 40분 동안 풀어야 했다. 문항별 배점은 2점과 3점으로 나눠 출제한다.
영어 영역은 현행과 동일하게 45문항(듣기평가 17문항 포함)을 70분 내에 풀게 된다. 필수 응시과목인 한국사 영역도 20문항(30분)으로 변화가 없다. 과목별 시험 순서도 현재와 똑같이 △1교시 국어 △2교시 수학 △3교시 영어 △4교시 한국사‧탐구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순으로 진행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