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고혈압이라면 반드시 약을 먹어야 할까?

입력
2024.08.21 19:54
0 0

[헬스 프리즘] 손일석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고혈압은 수축기(최고) 혈압 140㎜Hg 이상 또는 이완기(최저) 혈압 90㎜Hg 이상(가정 혈압 135/85㎜Hg 이상)일 때를 말한다(대한고혈압학회 진료 지침).

수축기 혈압이 130~139㎜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89㎜Hg이라면 ‘고혈압 전(前) 단계’다.

최근 5년 새 고혈압 환자가 14.1%나 증가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고혈압은 혈관 압력이 높은 것 외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발병 원인도 모를 때(본태성(원발성) 고혈압)가 대부분이다. 원인도 모르고 증상도 없는 고혈압이 위험한 이유는 높은 혈압 자체가 각종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고혈압이라면 다양한 신체 곳곳에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심장 발작이나 뇌졸중처럼 치명적인 합병증도 포함된다.

심장은 혈관의 압력이 높을수록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심장에 무리가 가면 심장 벽이 두꺼워지고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심부전(心不全·heart failure)이 나타날 수 있다.

높은 혈압은 온몸의 혈관(동맥)에도 문제를 일으킨다. 뇌졸중(뇌경색, 뇌출혈)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콩팥에도 문제를 일으킨다. 고혈압으로 콩팥이 손상돼 단백질이 소변으로 나오거나(단백뇨) 결국 만성콩팥병으로 진행될 때가 많다.

고혈압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다. 하지만 가족력, 흡연, 비만, 고염분 섭취, 운동 부족 등이 혈압을 올리는 주요 위험 인자로 꼽힌다.

부모 중 한 사람이라도 고혈압이라면 자녀가 고혈압일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비만이 심하면 순환되는 혈액량이 많아지며 혈압이 올라갈 수 있다.

술·담배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피를 끈적하게 만들어 혈압을 높이며, 나트륨(소금)을 많이 섭취해도 혈압이 오르게 된다. 고혈압 고위험군이라면 주기적으로 혈압을 체크해야 한다.

여성 고혈압도 적지 않다. 중년 여성의 고혈압은 폐경과 관련이 깊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혈관 확장 효과가 있는데, 폐경으로 호르몬이 감소하면 혈관 확장 효과도 함께 감소해 상대적으로 혈관이 수축되면서 혈압 증가를 보이게 된다. 폐경 후 체중 증가나 운동 부족, 나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 변화로 비만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혈압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혈압 관리의 핵심은 정확한 혈압 측정이다. 혈압을 잴 때마다 수치가 다르게 나와 내가 고혈압인지 아닌지 헷갈리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는 ‘백의 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을 의심한다. 실제 혈압은 정상이지만 의사를 만나면 긴장과 스트레스 때문에 혈압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원에서 혈압이 높게 나온다고 무조건 고혈압은 아닐 수 있고, 반대로 정상 수치가 나왔다고 해서 정상 혈압이 아닐 수 있다(가면 고혈압). 실제 고혈압 환자 중에서도 진료실과 가정에서 혈압 차이가 큰 경우가 있기에 ‘가정 혈압’을 잘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 중에 고혈압을 비롯한 심뇌혈관 질환 병력이 있거나 회사 혹은 근처에서 측정한 혈압이 꾸준히 135/85㎜Hg를 넘게 측정된다면 고혈압을 의심해야 한다. 혈압이 일관되게 높다면 근처 병원 혹은 보건소를 찾아 상담하는 게 좋다.

어떤 특정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혈압이 높아졌다고 해서 반드시 병원을 방문할 이유는 없지만 측정 혈압이 매우 높고 두통·어지럼·호흡곤란 등 다른 증상이 있다면 더욱 병원에서 상담받아야 한다.

고혈압 치료에는 약물 요법도 필요하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위험 인자를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고혈압을 처음 진단받았다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혈압을 내릴 수 있다. 물론 비약물 요법을 통해 혈압을 내리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의사와 정기적으로 만나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물 치료를 할 것인지 상의해야 한다.

반대로 고혈압 약을 복용하니까 나쁜 생활 습관을 그대로 유지해도 된다는 생각은 절대 금물이다. 약물 요법은 생활 요법에 추가되는 치료로 추가적인 강압 효과를 얻는 것이다. 생활 요법을 통해 약의 용량을 줄일 수 있기에 고혈압 약만 믿고 있지 말고 적극적으로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고혈압 예방은 적극적인 유산소운동, 건강한 식단(저염식, 육류를 피하고 채소 위주), 체중 감량, 금연, 절주 등 건강한 생활 습을 갖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젊은이 가운데 고혈압 및 심뇌혈관 질환 가족력이 있고, 흡연·비만·이상지질혈증 같은 대사 질환 위험 인자가 있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가져야 하고, 혈압도 자주 재는 게 중요하다.

고혈압이 있거나 정상 혈압(수축기 혈압 120㎜Hg 미만, 이완기 혈압 80㎜Hg 미만)보다 높다면 고혈압 합병증을 예방하고 고혈압 발생을 막기 위해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고혈압 예방 수칙]

1. 음식은 지방질을 줄이고 채소를 많이 섭취하며 싱겁게 먹는다.

2. 매일 적당한 운동을 통해 살이 찌지 않도록 체중을 유지한다.

3. 담배는 끊고 술은 삼간다.

4.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한다.

5.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의사 진찰을 받는다.

손일석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손일석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