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태 한국결식아동지원협회장 인터뷰]
기업체 운영하며 수익 5% 결식아동 후원
"중산층도 밥 못 먹어… 지원 기준 바꿔야"
민간단체는 조력, 하루 한 끼는 정부 책임
보건복지부 아동급식 지원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결식아동은 27만7,394명이다. 2014년 38만1,838명에 비해 10만4,000여 명(28%)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18세 미만 인구가 200만 명 이상 줄어든 걸 감안하면 여전히 아동 100명 중 4, 5명은 굶고 있는 셈이다.
경남 창원에 있는 한국결식아동지원협회 인근 카페에서 만난 김영태(47) 회장은 “과거엔 단순히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밥을 굶었다면 최근에는 이혼, 가출 등 가족해체나 맞벌이에 따른 보호자 부재로 굶는 아이들이 많다”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아이들을 가리지 않고 책임지는 보편적 복지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양플랜트 관련 업체를 운영하는 그가 2018년 결식아동지원협회를 설립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결식아동지원협회는 결식 우려 아동에게 도시락 등 식사와 생필품, 학용품, 장학금 등을 지원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정부 보조금 없이 협회원 68명이 내는 회비와 일반인 360여 명의 정기 후원금으로 운영된다. 통상 연간 1억 원 정도가 모이는데 이 가운데 95%가 임원급 회원들의 주머니에서 나온다. 김 회장도 매년 기업 수익의 약 5%를 결식아동지원에 쓴다. 그는 “정부 보조금을 받으면 정해진 선별 기준을 따를 수밖에 없어 부모가 있다거나 빈곤층이 아닌 결식아동을 지원하기 어렵다”며 “실상 결식아동이지만 서류상 결식아동이 아닌 아이들을 돕기 위한 나름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각 지자체에선 아동급식카드 지원 대상을 기초생활수급가구,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아동 및 기준중위소득 52% 이하 가구의 아동 등으로 제한한다. 김 회장은 “신장질환을 앓는 8세, 10세 남매가 있었는데, 베트남 국적 엄마는 4년 전에 도망갔고, 아빠는 일용직이었다. 투석에 필요한 병원비는커녕 당장 끼니조차 못 때우는 상황인데도 자격요건이 맞지 않아 식비 지원을 못 받는다더라”면서 “그런 제도권 밖 아이들을 놓치지 않고 챙기는 것이 우리 역할”이라고 말했다.
다만 민간단체는 조력자일 뿐 근본적으로는 결식은 국가가 적극 개입해야 할 문제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휴일이나 주말, 방학에도 최소 하루 한 끼는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 회장은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기준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아이들의 밥 문제는 다르다”며 “도입 초기 논란이 많았던 무상급식도 효율성, 형평성 등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훨씬 크다는 게 증명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실제 서울연구원은 2019년 서울시 무상급식에 투입된 예산에 비해 2배가 넘는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김 회장은 “결식은 밥을 굶는데 그치지 않고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문제로 이어진다"며 "그로 인해 발생할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면 급식은 지출이 아닌 투자로 보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앞으로의 목표는 법인의 규모를 키워 국내를 넘어 베트남, 필리핀, 에티오피아 등 개발도상국 아이들도 배 곪는 일이 없도록 돕는 것이다. 그는 “사업상 만나는 개발도상국 관계자들로부터 현지 여성과 만나 아이를 낳아 놓고 책임지지 않는 한국 아빠들이 많다는 원망을 종종 듣는다”며 “해외에 남겨진 아이들에게도 밥 걱정은 하지 않도록 만들어 주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