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 보고서 "일정지연, 예산증가 가능성"
착륙에 필수인 핵심 기술 국산화가 관건
우주청 개청 앞두고 2032년 발사 못 박아
과학계 "못할 것 없어" vs "신중할 필요"
올 5월 문을 열 우주항공청(KASA)이 달 착륙 목표를 거듭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2032년 발사 예정인 달 착륙선 개발이 늦어질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다. 가시적인 성과를 위해 무리하게 일정을 밀고 나가는 것 아니냐는우려가 나온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발간한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에는 달 착륙선 개발에 대해 "일정 준수 확률이 상당히 낮으며, 전체 달 착륙선 개발 일정 지연 가능성이 크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예산 증가의 가능성도 상당히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명시돼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지난해 10월 통과됐지만, 사업 종합평가위원회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위험요인 검토 및 대응이 반드시 진행돼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평가위가 일정 지연과 예산 증가의 원인이 될 걸로 지목한 부분은 '이원추진제 추진체' 개발이다. 이원추진제 추진체는 연료와 산화제를 각각 탱크에 저장해 필요할 때 섞어 추력을 내는 엔진으로, 세밀한 추력을 낼 수 있어 연착륙이 필요한 달 착륙선의 핵심 장비로 꼽힌다. 연료와 산화제를 나누지 않고 한 추진제로 쓰는 일원추진제 추친체보다 적은 연료로 많은 출력을 내기 때문에 탑재 중량이 줄어든다는 장점도 있다.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당초 국내 기술 여력 부족을 이유로 이를 해외에서 사오겠다고 했다. 그러나 평가위는 추진체 국산화가 우주탐사 역량 확보에 부합한다며 해외 구매 계획에 퇴짜를 놓았다. 어려워도 지금 개발하지 않으면 계속 해외 구매를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고도 지적했다. 결국 과기정통부가 추진체를 국산화하는 대안을 제시하고 나서야 달 착륙선 개발 사업은 약 19개월 만에 가까스로 예타를 통과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2032년 달 착륙을 곧 개청할 우주항공청의 핵심 사업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11일 브리핑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은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탐사 목표 달성을 통해 글로벌 우주강국으로 도약하는 위대한 발걸음의 시작"이라며 "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우리 기술로, 우리의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계에서는 2032년 달 착륙 실현 가능성을 놓고 다양한 분석이 잇따른다. 방효충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2032년까지 9년가량 남아 있기 때문에 현실성이 없지는 않다"면서 "안 가본 길이지만, 이미 기술 자체는 세계적으로 성숙돼 있고 오래 써왔기 때문에 전향적으로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개발 시작도 전부터 기간과 예산의 불확실성이 제기된 탓에 정부가 우주항공청을 띄우려고 쉽게 장밋빛 전망을 내세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달 궤도선은 과거 정부가 바뀔 때마다 발사 일정을 조정한 바람에 우주 기술이 정권 홍보용이냐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익명을 요청한 한 과학자는 "달 착륙선은 기존 위성이나 발사체 개발 때와는 다른 패러다임과 설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코 쉽지 않다"고 짚었다.
세계 흐름에 뒤처지지 않도록 개발에 속도를 내되 조바심은 경계해야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는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연구자는 "추진체 국산화는 언젠가 이뤄내야 하고, 달 착륙선 개발이 분초를 다투는 과제가 아닌 만큼 중장기적 시각을 갖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무리하게 끌고 가다 보면 저궤도 위성 등 산업적으로 시급한 현안이 뒤로 밀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