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유엔은 왜 영양곡물에 관심을 가질까?

입력
2023.12.13 04:30
27면
0 0

식물

편집자주

사람에게 따뜻함을 주는 반려동물부터 지구의 생물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지식과 정보를 소개한다.

밀렛 ⓒ게티이미지뱅크

밀렛 ⓒ게티이미지뱅크

올해는 유엔이 정한 '국제 밀렛(millet)의 해'다.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고 농업계에서조차 주목하지 않은 채 한 해가 지났다. 밀렛은 조, 수수, 기장 등 벼과에 속하는 기장족(Paniceae) 식물 중 식용으로 재배하는 식물을 일컫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잡곡으로 통칭하고 있을 뿐 별도로 구분하는 이름이 없다. 세계적으로 밀렛은 주요 곡물인 벼, 밀, 옥수수에 비해 영양성분이 풍부한 '슈퍼푸드'로 재인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온건조한 기후에 잘 적응해 자라기 때문에 온난화에 따라 확산하고 있는 고온과 가뭄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식량작물로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쌀 이외의 곡물을 잡곡이라 부르는 데에는 중요하지 않거나 하찮다는 의미가 담겨 있어 얼마 전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그 명칭에 대한 의견을 모아 본 적이 있다. 그중 '영양곡'이라는 이름이 맘에 들었다. 밀렛은 싹이 되는 배아와 중요 양분을 저장하는 호분층의 비율이 높아 단백질을 포함한 주요 영양성분과 비타민류, 기능성 물질들이 벼, 밀에 비해 훨씬 풍부하다. 밀가루에 많은 글루텐도 매우 적어 셀리악병이나 소화장애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조와 기장은 신석기시대 중국 요녕지역에서 한반도로 전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시대 발간한 '해동역사(海東繹史)'에는 조가 오곡 중 가장 많이 난다는 내용이 있고, 재배 기술도 많은 고농서에 기록하고 있다. 과거에는 쌀 못지않은, 어쩌면 쌀보다 더 중요한 백성들의 먹거리였다는 증거다. 고려시대부터 국가와 백성의 안위를 위해 왕실이 예를 갖춰 지켜야 했던 '종묘사직(宗廟社稷)'에서 '직(稷)'이라는 한자는 기장을 뜻한다. 조선 건국 당시부터 땅과 곡식의 신에게 예를 올리던 '사직단(社稷壇)'은 지금도 경복궁 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올여름 우리나라는 기록적인 폭우로 큰 재난을 겪었다. 반면 태국과 인도 등 동남아 국가들과 북미와 남미의 곡창지대,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는 고온과 가뭄 피해가 극심했다. 지구온난화로 국지성 폭우 피해도 크지만, 고온과 가뭄으로 인해 고통받은 나라가 훨씬 많고 심각하다. 우리나라도 여름철 집중호우 피해 못지않게 겨울과 봄철 가뭄도 매년 심각해지고 있다.

탄수화물 이외의 영양분을 탄소배출량이 많은 동물성 식품에 의존하면 할수록 기후변화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위기를 걱정하는 유엔이 밀렛에 주목하고 관심을 촉구하는 가장 큰 이유다.


서효원 식물학 박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