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ESS 산업 발전전략 발표
정부가 전력망 부족으로 태양광 출력 제한이 잦은 호남에 2026년까지 1.4기가와트(GW) 규모의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 최신형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는 설비 규모로 정부는 잇단 화재 사고로 침체된 ESS 시장이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의 'ESS 산업 발전전략'을 31일 발표했다. 올해 초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밝힌 ESS 설치 계획을 앞당기는 게 핵심이다. 이를 바탕으로 2036년 세계 ESS 시장 점유율을 35%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ESS는 생산한 전력을 저장했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날씨나 시간에 따라 발전량이 불규칙한 재생에너지를 대규모로 활용하려면 이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관련 산업이 성장하며 화재 위험이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산업부와 소방청 등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지난해까지 ESS 화재 건수는 44건으로 재산 피해액은 수백억 원에 달한다. 화재 피해는 큰데 관련 시장이 커지지 않자 기업들의 투자도 줄어든 실정이다.
정부는 10차 수급계획에서 ESS 설비 규모를 △2026년 0.05GW △2027년 0.28GW △2028년 0.62GW △2029년 0.88GW로 조금씩 늘리다가 2030년에야 3.66GW로 대폭 늘리겠다고 발표했다(제주 지역 제외). 이날 내놓은 발전 전략에서는 2025년부터 ESS를 매년 0.6GW씩 늘려 2030년 3.66GW를 달성하도록 계획을 수정했다. 에너지업계는 연 2조 원대 시장이 열릴 것으로 보고 있다.
ESS 설치 기업 융자 규모 늘리고 세액공제도 검토
특히 태양광 발전 시설이 많아 봄‧가을 출력제어를 겪고 있는 호남지역에는 2026년까지 우선 1.4GW를 조달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 이맘 때 호남지역 ESS 입찰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ESS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저탄소 중앙계약시장'도 만든다. 저탄소 중앙계약시장에서 낙찰받은 ESS 설비 사업자는 전력거래소의 발전계획에 따라 전력 충·방전 시간을 정하고, 안정적으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ESS 설치를 원하지만 초기 자본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사업장에 ESS 융자 규모를 늘리고, ESS 시설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군부대, 소방서, 병원과 에너지자립을 위한 마을·섬 등에 ESS를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ESS 화재 안전성 검증센터 등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재생에너지 시장이 커지며 전세계 ESS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해 152억 달러 규모의 ESS 시장이 2030년에는 395억 달러까지 늘 것으로 예상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