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인질 석방 후 "추가 협상" 요구 ↑
막후서도 '인질 대 휴전 거래' 대화 이뤄져
바이든 "이스라엘과 지상전 연기 논의 중"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 여부에도 영향 줄듯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전쟁에서 ‘인질 석방’ 문제가 전쟁 향방을 가를 핵심 쟁점으로 급부상했다. 20일(현지시간) 하마스가 미국인 인질 두 명을 풀어주면서 인질 석방 협상에 물꼬가 트였기 때문이다.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 여부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이스라엘은 “(인질 석방은) 하마스의 함정”이라며 지상전 개시 의지를 굽히지 않지만,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지상군 투입 자제를 요청하고 있다.
21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이날 인질 추가 석방을 두고 날카롭게 대립했다. 하마스가 “(20일 미국인 석방 후) 추가로 두 명을 풀어주려 했으나 이스라엘이 거절했다”고 발표하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실은 “거짓 선전전”이라고 일축했다. 국제사회 여론을 좌우할 인질 문제를 둘러싼 양측의 여론전이었다.
NYT "하마스, 미국 통해 이스라엘 압박"
이 같은 공방은 인질 석방 협상이 첨예한 문제로 떠올랐음을 시사한다. 외신들은 하마스가 인질 석방을 고리로 미국을 끌어들여 이스라엘의 결정에 영향을 주려 한다고 분석한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하마스가 인질 약 210명 중 미국인을 선택한 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호감을 얻어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군의 보복을 누그러뜨리려는 선택”이라고 짚었다.
실제 미국이 인질 석방을 위해 이스라엘을 압박한 것으로 볼 정황도 있다. 석방 이튿날인 21일, 가자지구 남부 국경 라파 통로가 임시 개방돼 구호 트럭 20대가 진입한 게 대표적이다. 그간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물자를 강탈할 수 있다”며 통로 개방을 반대했는데, 미국이 인질 석방을 유도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설득하고 압박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스라엘 정보기관 신베트의 국장을 지낸 야코프 페리는 NYT에 “이스라엘이 미국인 인질 석방을 고려해 라파 통로 개방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과 이스라엘, 카타르 등이 ‘인질 50명 석방’ 대가로, △임시 휴전 △가자지구 물 공급 재개 △가자지구 인도주의 지원 강화 등을 하마스와 논의했다고도 보도했다. 세 가지 조건은 모두 이스라엘이 거부해 왔던 것인데, 이 협상은 결국 결렬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WSJ는 그러면서 미국 정부 관리를 인용해 20일 미국인 석방 역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 탓에 합의 도달이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도 “미국과 EU가 인질 협상을 위해 이스라엘에 지상군 투입을 연기하라고 압력을 가해 왔다”고 보도했다.
"카타르의 인질 협상 채널 입증… 네타냐후에 압력"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 여부나 시점도 이러한 흐름에 영향받을 수밖에 없다. 21일 바이든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지상군) 침공 연기를 권장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있다”고 답했다. 지금까진 “이스라엘은 국제법을 준수해야 한다”고만 원론적 언급을 한 데에서 ‘논의 중’이라는 취지로 바뀐 것이다. 전날에도 그는 ‘지상전을 미루길 원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는데, 이후 백악관은 “질문을 정확히 듣지 못했었다”며 부랴부랴 수습에 나섰다.
미국의 중동 연구기관인 미·중동프로젝트의 대니얼 레비 대표는 “카타르가 막후에서 이끄는 (인질 협상) 채널은 이제 전달 능력이 입증됐다. 네타냐후 총리는 (협상을) 실현하도록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스라엘군은 “하마스의 인질 협상은 우리의 공격 덕분”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