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소행성 '베누' 토양 샘플, 7년 만에 귀환… 지구 생명체 출현 비밀 풀리나

알림

소행성 '베누' 토양 샘플, 7년 만에 귀환… 지구 생명체 출현 비밀 풀리나

입력
2023.09.25 07:54
수정
2023.09.25 18:21
2면
0 0

지구서 수억㎞ 떨어진 소행성 흙·자갈 250g
탄소 풍부한 행성... "유기분자 포함 가능성"
45억년 전 상태 유지... 지구 기원 파악 단서

24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직원들이 미 유타주(州) 사막의 국방부 시험·훈련장에 떨어진 소행성 토양 샘플 캡슐을 회수하고 있다. 2016년 9월 발사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소행성 '베누(Bennu)'에서 채취한 표면 토양 샘플이 담겨 있다. AP 연합뉴스

지구로부터 수억㎞ 거리에 있는 소행성 ‘베누(Bennu)’의 토양 샘플을 채취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의 캡슐이 지구로 돌아왔다. 이 샘플은 지구의 기원과 초기 형성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베누는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이라는 점에서, 지구 생명체 출현의 비밀이 어느 정도 풀릴지 모른다는 기대감도 과학계에서 나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나사는 오시리스-렉스가 베누의 흙, 자갈 등 샘플을 담아 지구로 보낸 캡슐이 이날 미국 유타주(州) 사막에 있는 국방부 시험·훈련장에 낙하했다고 밝혔다. 캡슐에 담긴 토양 샘플은 약 250g 정도로 추정된다.

베누는 폭 500m 길이의 소행성으로, 태양계 형성 초기인 45억 년 전과 거의 동일한 화학·광물학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초기 지구의 형성·발전 과정을 파악하는 데 유의미한 단서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또 생명체 탄생에 필수적인 유기 분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오시리스-렉스가 토양 샘플을 채취할 당시 베누와 지구의 거리는 약 3억2,100만㎞였다.

실제 2020년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소행성 '류구'에서 채취한 토양엔 두 가지 유기 분자가 포함돼 있었다. 이는 초기 지구에 충돌한 천체가 생명의 원재료인 유기 분자를 이 땅에 뿌렸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해 줬다. 일본은 2010년과 2020년, 두 차례에 걸쳐 미량의 토양 샘플을 소행성에서 가져온 적이 있다. 오시리스-렉스의 샘플은 일본에 이어 인류가 지구로 들여온 세 번째 소행성 토양이다.

나사는 우선 샘플 캡슐을 텍사스주 휴스턴의 존슨우주센터(JSC)로 옮긴 뒤, 여기서 꺼낸 샘플을 다시 전 세계 기관 60곳으로 보내 본격 분석에 착수할 예정이다. 캐나다와 일본 등도 참여하며,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샘플 캡슐을 지구에 떨군 오시리스-렉스 탐사선 본체는 다른 소행성 ‘아포피스(Apophis)’를 탐사하기 위해 또다시 항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나사는 2016년 9월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발사했다. 이 우주선은 약 2년간의 항해 끝에 2018년 12월 소행성 베누에 도착했다. 이후 베누 궤도를 돌다가 2020년 10월 로봇 팔로 지표면 토양을 채취한 뒤, 2021년 5월 약 19억㎞의 항해 끝에 지구 궤도로 돌아왔다. 오시리스-렉스가 지구로 발사한 캡슐이 유타 사막에 도착했을 당시엔 방열판 온도가 섭씨 2,800도에 달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김현종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