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
문화예술저작권 7개 반기 연속 흑자
올해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반기 기준 역대 2위 수준의 흑자폭을 기록했다. 산업재산권 적자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케이팝(K-pop) 등 문화 콘텐츠 인기에 소프트웨어 수출 호조가 겹치며 저작권이 역대 최대 흑자를 낸 덕분이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는 3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반기 만의 흑자 전환으로, 규모도 2010년 통계 편제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크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산업재산권(특허 및 실용신안권 등), 저작권(음악·영상저작권 등) 등 모든 유형의 지식재산권 국제 매매와 사용거래 현황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는 통계다.
'만성 적자' 산업재산권은 이번에도 10억8,000만 달러 적자로 부진했다. 특허 및 실용신안권이 5억7,000만 달러 적자를 냈고, 의류잡화 관련 상표권과 프랜차이즈권 수입이 늘면서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도 5억2,000만 달러 적자였다.
전체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흑자를 이끈 건 저작권이다. 상반기 저작권은 15억2,000만 달러 흑자로 반기 기준 흑자 폭 1위 기록을 새로 썼다. 이 중 문화예술저작권은 3억4,000만 달러 흑자로 반기 기준 2020년 상반기 이후 7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며 K콘텐츠의 영향력을 입증했다.
이에 더해 연구개발(R&D) 및 소프트웨어 저작권 흑자도 반기 만에 2억5,000만 달러에서 11억8,000만 달러로 껑충 뛰었다. 문혜정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장은 “간편결제서비스 업체 해외 진출,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앱) 탑재 대금 등으로 데이터베이스 수출이 특히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기관 형태별로 살펴보면 국내 대기업은 28억5,000만 달러의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 흑자(10억7,000만 달러)가 두드러졌다. 거래 상대 국가 중 중국(13억5,000만 달러)과 베트남(7억7,000만 달러)엔 흑자를 냈고, 영국(-17억3,000만 달러)과 미국(-11억1,000만 달러)에선 적자를 봤다. 문 팀장은 “산업재산권 적자 규모는 조금씩 줄어들고, 저작권은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향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도 균형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