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노동 의혹' 신장 원자재·부품 기업들
테슬라·포드 등 전기차 회사에 공급 의혹
"마케팅으로 못 덮어" 미 상원 조사 착수
제3국의 반(反)인권적 노동 환경에서 생산된 원자재·부품을 공급받는다는 비판에 휩싸인 글로벌 전기자동차 업계의 ‘중국 커넥션’ 실상이 드러났다. 테슬라와 포드 등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중국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소수민족 강제동원’ 기업들을 주요 공급망으로 삼아 왔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것이다. 미국 정부가 ‘강제 노동’에 연관된 신장 지역 제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기차 업계의 또 다른 공급망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8일(현지시간)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중국의 신장 지역 기업을 공급업체로 활용하면서 강제 노동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 언론 보도와 기업 재무제표 등을 분석한 결과라는 게 신문의 설명이다.
"잉여 노동력 활용" 핑계로 소수민족 강제 동원
WP에 따르면 문제가 된 중국 기업은 3곳이다. 리튬 생산·가공 업체인 ‘즈춘 리튬’과 배터리·차량용 알루미늄 제조업체 ‘신장 중허’, 화학 대기업 ‘신장 중타이그룹’이 신장 자치구에서 자행되는 강제 노동의 근거지로 지목됐다.
국제사회는 ‘신장 강제 노동’ 의혹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지난 3월 유엔이 “중국 정부가 신장 자치구의 소수민족을 직업 훈련 센터에 집단 수용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게 대표적이다. ‘농촌 잉여 노동력 고용’을 명분으로 소수민족을 수용소에 몰아넣은 뒤, 엄격한 감시하에 두고 공산당·산업화 이념을 주입해 민간 기업에서 일하도록 강제했다는 의혹이었다. 미국도 지난해 중국이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며 ‘강제 노동과 무관하다는 게 입증되지 않은’ 모든 신장산(産) 제품의 수입을 금지했다.
WP가 꼽은 기업 3곳의 면면은 이에 부합한다. 즈춘에 대해 신문은 “중국 언론에서 ‘농촌 잉여 노동력 고용을 촉진했다’고 소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허도 중국 공산당의 소수민족 탄압 조직인 신장생산건설병단(XPCC)과 협력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타이 역시 “과거 위구르족 2,000명을 산업 단지로 이주시키고 ‘당을 사랑해야 한다’고 세뇌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테슬라·포드 연루… 미 상원 조사 착수
테슬라는 즈춘, 중허와 간접적으로 연루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중국·북미 공장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닝더스다이(CATL)가 즈춘의 2대 주주였던 것이다. 올해 CATL이 해당 지분을 처분했지만, 이 회사의 고위 임원 출신이 CATL 투자를 받아 합작 회사를 설립했고 지금도 즈춘 지분을 대거 보유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중허는 베이징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WKW의 부품 공급업체였는데, WKW가 테슬라 상하이 공장과 계약을 맺은 것으로 파악됐다. 포드는 CATL과 미 미시간주(州)에 신규 배터리 공장을 합작 설립할 계획이었으며, 중타이의 거래 기업인 중국 남방공업그룹(GSGC)과도 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볼보와 폭스바겐 등도 연루 정황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업계의 공급망 리스크를 우려하고 있다. 실제 미 상원 재무위원회는 최근 신장 기업들과 전기차 제조업체 간 관계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론 와이든(민주·오리건) 상원 재무위원장은 WP에 “강제 노동 문제는 자동차 업계가 ‘마케팅 언어’로 덮는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며 강도 높은 조사를 예고했다. 테슬라는 WP의 논평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포드는 “공급망과 관련해 인권침해 문제를 예방하겠다”고 답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