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을 넘어서', 금융기관 등 32곳 질의
답변한 11곳 중 7곳 탈석탄 선언했지만
"선언하기 전 체결한 계약이라"
신규 건설 중인 삼척석탄화력발전소에 투자한 공공·금융기관들이 투자 지속 여부에 대한 시민사회의 질의에 "투자 철회는 어렵다"고 밝혔다. 이 중에는 기후위기 대응 필요성을 인정하며 자체 '탈석탄 선언'을 한 기관도 여러 곳이다.
7일 시민사회 네트워크 '석탄을 넘어서'가 삼척화력 1·2호기를 짓고 있는 삼척블루파워의 대주단 및 재무적투자자 32개 금융기관 등에 투자 철회 여부에 대해 질의한 결과, 답변을 보낸 11개 기관 중 산업은행·우리은행 등 10곳은 "투자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연금공단은 "정보 제공이 어렵다"고 답했다. 석탄을 넘어서는 "중소기업은행, 삼성생명 등 21개 기관은 유선으로도 추가 문의했지만 무응답으로 일관했다"고 밝혔다.
답변을 보낸 기관 중 국민연금공단, 산업은행, 한화손해보험 등 7곳은 2019년 이후 탈석탄 선언을 하고 석탄발전 관련 신규 투자를 중단하기로 했다. 그러나 삼척블루파워에 대한 투자는 그 이전에 계약돼 해당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DB손해보험은 "2019년 12월 국내 민간금융사 최초로 탈석탄 투자 선언을 하고 투자 결정 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요인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삼척블루파워 대출은 탈석탄선언 전인 2018년 6월 계약 건이라 해지가 어렵다"고 답했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기조 속에 석탄발전소는 '좌초자산'으로 외면되고 있다. 삼척블루파워도 2019년 이후 7차례 회사채를 발행했으나 매번 수요 예측에서부터 '대량 미달'이 났다. 문제는 삼척블루파워가 2024년 발전소 준공까지 필요한 자금 약 8,000억 원을 전액 회사채 발행으로 마련하기로 했는데, 금융사들이 회사채 발행을 주관하고 팔리지 않는 물량을 매입하겠다는 '총액인수계약'을 맺은 것이다. 향후 발전소가 가동된다 해도 탄소배출 부담으로 가동률을 높이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수익 회수가 쉽지 않을 거란 얘기다. 현재 전국 석탄발전소 가동률은 60%에 못 미친다.
반면 금융기관들은 "정부 보조 덕에 사업성 악화 우려가 크지 않다"고 답했다. 한국전력의 발전 자회사 및 민간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해 정부가 건설 비용과 적정 수익을 일정 기간 보상하는 '총괄원가 보상제도'가 있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석탄을 넘어서는 "정부의 조속한 대응이 있어야 금융기관이 기후 위험과 재정 위험을 직시하고 석탄발전에 대한 금융 제공을 중단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삼척블루파워는 포스코인터내셔널(29%)과 포스코이앤씨(5%)가 주요 주주인 포스코 계열사로 2018년부터 삼척1·2호기를 건설하고 있다. 1호기는 다음 달, 2호기는 내년 4월 완공 예정이다. 설비 규모는 2,100메가와트(㎿)라 최대 출력으로 가동 시 연간 1,282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0년 한 해 부산 전체 에너지 사용에 따른 배출량(1,298만 톤)과 비슷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