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등 기업대출 부실화 직격탄
당국 "감당 가능한 수준이나 관리 만전"
제2금융권 대출 연체율이 반년 새 모두 높아졌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그로 인한 부실 영향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할부금융사·리스사·신기술금융회사 156곳의 연체율은 1.78%로 지난해 말(1.25%) 대비 0.53%포인트 올랐다. 카드사의 경우 6월 말 기준 연체율이 1.58%로 전년 말 대비 0.38%포인트 늘었다.
비교적 기업대출 영향이 적은 여신전문금융사에 비해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조합(농협·신협·수협·산림)의 연체율은 큰 폭으로 치솟았다.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은 5.33%로 지난해 말 대비 1.07%포인트 올랐는데, 기업대출 연체율이 5.76%로 전년 말 대비 2.93%포인트나 오른 영향이 컸다.
상호금융 연체율도 2.8%로 같은 기간 1.28%포인트 올랐다. 행정안전부의 관리·감독을 받는 새마을금고의 경우는 연체율이 5.41%를 기록, 반년 새 1.82%포인트 증가했다. 이들 역시 기업대출 부실이 문제가 됐는데, 6월 말 기준 상호금융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4.21%(1.98%포인트 증가), 새마을금고는 8.34%(2.72%포인트 증가)에 달했다.
비은행권 연체율이 반년 새 크게 늘어난 데는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부동산 시장 침체 탓이 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2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는 115조5,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었다. 우후죽순 늘어난 부동산PF 사업장이 비교적 문턱이 낮은 2금융권 대출문을 두드린 결과다. 그러다 지방 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부실 우려가 커졌고, 불안 심리가 이어지면서 올해 6~7월 새마을금고에선 급기야 '뱅크런' 사태까지 발생했다. 저축은행 등 다른 2금융권이 연체율 관리에 촉각을 세우는 이유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대체로 1분기에 비해 2분기 증가세가 꺾이면서 안정화하고 있다는 설명인데, 향후 경기 개선 전망이 밝지 않고 '부동산PF 위기론'은 퍼지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금감원 관계자는 "하반기 통화 긴축 지속 여부,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등 대내외 경제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부실채권 정리 확대, 채무 재조정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