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바닥론 점검]
2030 아파트 매입 비중 최고치
규제 풀리는데 주택 공급은 더뎌
곳곳에서 부동산 과열 경고음
정부의 규제 완화 효과로 최근 집값이 다시 들썩이자 20·30세대가 다시 주택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주택시장 호황기에 유행처럼 번졌던 전세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지방에서도 집값 반등 신호가 포착된다. 곳곳에서 부동산 과열 경고음이 울리고 있는 만큼 정부가 지금 상황을 엄중히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3건 중 1건(31.3%·6만3,683건)은 30대 이하가 사들였다. 이는 2019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반기 기준 가장 많다. 주택시장 침체기였던 지난해 하반기 27.9%로 최저를 찍었지만 반기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서울의 상반기 20·30세대 아파트 매입 비중은 36.3%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6.2%포인트 급증했다.
정부가 올해 1월 말부터 소득에 상관없이 9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 최대 5억 원까지 연 4%대 금리로 빌려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한 게 주효했다. 이를 발판 삼아 집값이 더 오르기 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매수에 나선 젊은 층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전셋값이 다시 오를 조짐을 보이자 부동산 커뮤니티엔 갭투자가 주요 키워드로 떠올랐다. 최근 6개월간 수도권 남서부 지역에서 갭투자(아실 집계)가 두드러졌다. 경기 화성시(331건), 평택시(241건), 시흥시(223건), 인천 연수구(223건), 성남시 분당구(220건) 등으로 아파트 매매 후 3개월 내 직접 거주하지 않고 전·월세를 놓아 갭투자로 분류된 거래들이다. 정부의 규제 완화와 맞물려 수도권 아파트값이 하락하자 집값 차익을 노린 갭투자자가 대거 몰린 영향이다. 특히 서울도 비규제지역이 되면서 갭투자가 합법적으로 가능해진 터라 얼마든지 다시 갭투자가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규제 완화 신호를 주면서도 그에 반해 주택 공급은 더디다 보니 시장에 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만연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더구나 지방도 하락을 멈추면서 집값 상승은 전국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박덕배 금융의창 대표는 "경제 여건이 전혀 받쳐주지 않는데도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인식이 번지면서 다시 과열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며 "시장에 연착륙 신호만 주다 보니 집값이 더는 안 떨어질 거라는 심리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관기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