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해녀보존책 이끌 목적
'한반도 해녀포럼' 내년 구축 추진
제주 제외하면 지원책 거의 없어
70여 년 전 한반도의 동쪽 끝 독도, 그곳에도 해녀가 살았다. 여러 기록에 따르면 제주 해녀들은 일제강점기 때 처음 독도를 찾았고, 1953년 독도 경비 임무를 수행한 민간조직(독도의용수비대) 결성 이후 본격적으로 섬에 거주하며 물질을 했다.
왜 제주 해녀들이 고향을 떠나 그 멀고 먼 독도까지 가서 자맥질을 해야 했을까. 거기서 큰돈을 벌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고향 가족들을 위해 15세, 18세 앳된 소녀들은 거칠기로 유명한 독도 앞 검푸른 바다에 망설임 없이 뛰어들었다. 숙소도 없이 자갈밭에 가마니 몇 장을 깔고 자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물질을 하며 번 돈을 집안 살림에 보탰다.
제주 해녀들은 독도에서 1970년대까지 물질을 하며, 호시탐탐 영유권을 노리는 일본에 맞서 '국토의 막내섬'을 지키는 일에 큰 역할을 했지만, 이런 노력은 제대로 알려지거나 평가되지 않았다.
제주를 포함한 전국 해녀들의 전통유산 보존과 전승을 담당할 전국 단위 조직인 ‘한반도 해녀포럼’(가칭) 구성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제주도의회와 함께 이달 전국 해녀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활동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제주 해녀들의 원정 물질은 일제강점기 때 시작됐다. 제주 해녀들은 1895년 부산을 시작으로 경상·전라·충청·강원 등 국내뿐 아니라 일본·중국·러시아까지 진출했다. 출항 해녀 중 일부는 고향으로 돌아오지 않고 타향에서 어렵게 자리를 잡았다. 현재까지도 출항 해녀의 2·3세대들이 해녀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만 1만여 명(제주 3,200여 명 포함)이 활동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렇듯 해녀는 전통문화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국가무형문화제 제132호로 지정됐지만, 지방자치단체별로 조례를 통해 보존정책이 이뤄지면서 전국 단위의 전승 노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실제 제주에선 해녀 보호·육성을 위해 △진료비 △해녀 은퇴수당 △신규 해녀 정착금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이 이뤄지고 있는 반면, 다른 지역에선 해녀에 대한 정부나 지자체의 뒷바라지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도와 도의회는 해녀 전승·지원 정책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을 이끌어내기 위해 전국 해녀들의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는 이달 18일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해녀의 전국적인 네트워크 방안’을 주제로 첫 전국 순회토론회를 개최한다. 부산은 제주를 떠난 해녀들이 도착한 첫 도시라는 상징성 때문에 첫 토론 지역으로 선정했다. 도와 도의회는 다음 달 제주해녀축제 사전행사로 전국 해녀를 초청해 지원 정책을 논의하고, 10월에는 국회에서 전국 해녀 네트워크 확대와 법제화 토론회를 연다. 내년에도 울릉도 등에서 순회 토론회를 열고, 하반기 전국 모든 해녀가 참여하는 ‘한반도 해녀포럼’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김희현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제주에선 해녀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등으로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다른 지역 해녀들은 사실상 지원책이 전무한 실정”이라며 “해녀 문화 보존‧전승을 위해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자체가 협력해 전국 단위 해녀 조직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