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사기형 감소, 기관사칭형 증가
기관사칭 피해자 절반이 20대 이하
“서울중앙지검 ○○○검사입니다. 수사에 협조하지 않으면 구속하겠습니다.”
"금융감독원입니다. 금융거래법을 위반하셔서 금감원에 돈을 공탁하셔야 합니다."
이런 멘트로 이어지는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수법은 널리 알려진 '고전'에 가깝지만, 사회 경험 적은 청년들은 이렇게 권력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에 여전히 많은 피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찰청에 따르면, 올 1~5월 보이스피싱 범죄와 피해액은 7,363건, 1,71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1%, 35% 줄었다.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이 큰 폭으로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출사기형은 전년 동기 6,920건 발생해 1,810억 원 피해를 입혔는데 올해엔 2,848건(피해액 782억 원)에 그쳤다.
반면 기관사칭형은 늘었다. 전년 3,787건(812억 원)에서 올해 4,515건(931억 원)으로 증가했다. 5억 원 이상을 뜯긴 기관사칭형 다액피해 사건도 올해에만 9건 발생했다.
특히 피해자 연령을 분석했더니, 20대 이하가 기관사칭 범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기관사칭형으로 피해를 본 7,363명 가운데 20대 이하가 3,527명으로 절반에 육박했다. 남성이 2,938명으로 여성(589명)보다 훨씬 많았다. 50대(721명), 60대(560명), 70대 이상(166명) 등 고령층 피해자도 적잖았다.
기관사칭형은 대개 자금세탁 등 범행에 연루됐다며 피해자에게 위조된 기관 신분증과 가짜 구속영장 등을 제시, 고압적 분위기를 조성하며 시작된다. “수사에 협조하면 약식수사로 진행한다”며 꼬드겨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도록 하고, 계좌 이체, 상품권 핀(pin) 번호 전송, 가상자산 이체 등을 통해 자금을 받는다. 이 과정에서 대출까지 받게하는 경우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기관은 영장이나 공문서를 절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문자로 보내지 않는다”며 “특히 자산 검사 등을 명목으로 현금 등을 요구하면 100% 사기이니 전화를 끊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