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심장이 빠르게 불규칙하는 뛰는 '심방세동', 방치하면 뇌졸중·심부전으로 목숨 위협

입력
2023.06.08 18:20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심장은 분당 60~100회 뛰는데 박동이 갑자기 빨라지거나(빈맥), 늦어지거나(서맥), 불규칙해지는 것은 부정맥(不整脈·arrhythmia)이라고 한다. 부정맥은 돌연사(90%)의 주범이자 뇌졸중(30%)도 유발한다.

부정맥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이 심방세동(心房細動ㆍatrial fibrillation)이다. 무질서하게 아주 빠르게 뛰는 심방세동이 생길 때 빨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뇌졸중이나 심부전으로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다.

‘돌연사의 주범’으로 불리는 심방세동은 전 인구의 2% 정도(100만명)에서 나타나지만 병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치료율은 매우 낮다.

심방세동은 심장 노화가 주원인으로 나이가 많고 당뇨병ㆍ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을 때 주로 발병한다.

심방세동은 두근거림ㆍ호흡곤란 등 심장 관련 증상을 느낄 때가 있고, 증상을 전혀 느끼지 못하기도 한다. 뇌졸중 등 합병증이 발생해 발견되기도 한다.

최형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방세동이 무서운 이유는 뇌졸중의 주원인이기 때문”이라며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보다 팔다리 마비, 인지 기능 저하 등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않고 매우 빠르고 미세하게 떨리면서 좌심방 내 혈액 흐름이 느려지고 피가 굳어 혈전이 생길 수 있다. 혈전이 갑자기 떨어져 나가 뇌혈관 등 다른 장기 혈관으로 이동해 혈관을 막으면 뇌졸중ㆍ색전증 등이 발생한다.

심방세동 초기에는 발작성으로 증상이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났다가, 저절로 사라지기도 한다. 이때 가슴 두근거림, 숨이 차는 느낌, 가슴이 압박되는 증상 등을 느낄 수 있다. 심부전이 동반되면 누웠을 때 숨이 더 차거나 다리가 붓는 ‘하지 부종’ 증상이 나타난다.

심방세동이 진행하면 지속성 형태로 바뀌고 계속해서 심방세동 상태가 되지만 오히려 증상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뚜렷한 증상 없이 우연히 건강검진 등으로 발견될 때가 많고, 이유 없는 무기력감이나 만성 피로 등을 겪기도 한다.

심방세동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특히 노화와 관계가 깊으며,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심장판막 질환, 심부전 및 심근병증 등 심장 질환이나 갑상선 질환, 비만, 당뇨병, 만성 폐 질환, 수면 무호흡 등 심장 외 질환에서도 잘 동반된다. 기타 생활 습관 요인으로 음주ㆍ흡연 등을 들 수 있다.

심방세동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 검사로 진단한다. 지속성 심방세동은 증상이 없더라도 심전도 검사를 통해 측정할 수 있지만, 발작성 심방세동은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최근에는 72시간에서 1주일 이상 검사가 가능한 홀터 검사로 진단한다.

심방세동 치료는 크게 뇌졸중 예방과 심방세동으로 인한 증상 조절로 나뉜다. 심방세동 환자는 뇌졸중 확률이 매우 높고, 나이가 많거나 동반 질환이 많을수록 발생 확률은 더 높아 뇌졸중 예방이 중요하다.

심방세동에 의한 뇌졸중 발생 위험은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환자 나이와 동반 질환에 기반한 점수화 시스템(CHADS2-VASc)을 이용해 항응고제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뇌졸중 예방은 몸에서 일어나는 응고 과정을 억제해 심장 내 혈전 발생을 방지하는 ‘항응고제 치료’에 기반을 둔다. 최근 항응고제 치료는 전통적인 와파린의 단점을 보완해 뇌출혈 부작용이 적은 엘리퀴스, 자렐토, 릭시아나, 다비가트란 등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약제 사용 시 콩팥 기능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하므로 지속적이고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심방세동 발생 시 맥박이 빨라지고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는 항부정맥제를 사용한다. 항부정맥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맥이 지속되거나 발작성 증상이 재발하면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른 약을 처방할 수 있다.

그럼에도 지속적으로 맥박이 교정되지 않거나 자주 재발하면 심방세동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심방세동 시술은 심장 내 부정맥 원인 부위를 치료하는 근본적인 치료법이다. 양쪽 대퇴부 정맥에 전극 도자를 삽입해 고주파 에너지로 부정맥 발생 부위를 절제하는 ‘전극 도자 절제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약물 치료보다 치료 효과가 높고, 회복이 빠르다. 시술 성공률은 7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냉각 풍선 절제술’이 시술 시간이 짧고 전극 도자 절제술과 동일한 심방세동 치료 성적을 보여, 환자 상태에 따라 일차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최형오 교수는 “젊고 특별한 동반 질환 없이도 과도한 음주로 심방세동이 발생할 때가 많다”며 “술은 심방세동을 유발하는 주원인이며, 음주량이 많아질수록 발생 확률이 높고, 흡연과 간접 흡연도 심방세동의 악화 요인”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수면 무호흡도 심방세동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무호흡이 심하면 양압기 치료가 도움이 된다”고 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체계적인 운동만으로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주와 금주, 금연,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등을 통해 심방세동 발생과 재발을 줄여야 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