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할 해역 실시간 감시 범위 4배 확대 기대
해양정보 융합·분석 플랫폼 2026년 첫선
광역 해양감시체계는 2030년까지 완성
해양경찰청이 한국형 'MDA(Maritime Domain Awareness·해양영역인식)' 체계를 구축해 해역 감시 범위를 현재의 4배 이상 확대한다.
해경은 18일 "해양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광역 해양감시체계'와 해양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해양정보 융합·분석 플랫폼'을 동시에 추진해 한국형 MDA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각종 해양상황을 실시간 파악해 안보·안전·경제·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예측하는 MDA는 미국과 일본, 싱가포르 등에 구축돼 있다. 최근 미·중 간 해양 패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해경이 이번에 추진키로 한 해양감시체계는 경비함정과 해상교통관제(VTS), 항공기, 위성, 중고도 무인기, 수중드론(무인잠수정) 등 감시 자산을 활용한다. 위성과 중고도 무인기 등이 갖춰지는 2030년 가동 예정으로 해경은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28년부터 저고도 위성 수십여 개를 쏘아 올릴 계획이다. 중고도 무인기 도입은 올해 정책연구에 착수한다.
해경은 또 각종 해양정보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통해 분석한 뒤 해양상황을 예측하는 해양정보 융합·분석 플랫폼을 위해 2026년 완료를 목표로 AI 해양경비지원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해양수산부와 해군, 경찰 등이 따로 수집·활용·관리 중인 선박신호와 해양기상 관측 등 해양정보를 통합하는 작업도 착수했다. 국내외 위성을 활용한 해상경계 미획정 해역 등 관심 해역에 대한 모니터링과 위성정보를 분석하고 경비함정 등 현장세력과 공유하는 해양정보융합센터 구축도 추진 중이다.
해경 관할 해역은 국토 면적의 4.5배인 45만㎢다. 현재는 16%에 해당하는 7만2,000㎢만 실시간 감시·경비가 가능하다. 하지만 한국형 MDA 체계가 완성되면 70%(31만5,000㎢)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해경은 전망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한국형 MDA 구축이 마무리되면 관할 해역에 대한 보다 촘촘하고 정밀한 감시가 가능하다"며 "해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 상황을 사전에 인지해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어 해양 통제력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