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새 12배로 늘며 수입 '양극화'
"과세 사각지대 이용 탈세 막아야"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 기반 콘텐츠 제작 시장에 너도나도 뛰어들며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소득을 신고한 사업자가 2년 새 12배 수준으로 급증했지만, 하위 절반은 연평균 수입이 40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상위 1%가 한 해 벌어들이는 돈은 7억 원대로 올라섰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아 7일 공개한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 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4,219명으로, 2019년(2,776명) 당시 규모의 12.3배였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유튜버나 인터넷방송 진행자(BJ) 등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자다.
수입 신고액만으로도 이미 1인 미디어 창작자 시장은 1조 원에 육박하는 규모(8,589억 원)다. 후원금과 뒷돈 같은 ‘과세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신고되지 않은 수입 금액도 적지 않으리라는 게 양 의원 지적이다.
신참의 기대와 달리 성장의 과실이 골고루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342명의 연간 수입은 1인당 평균 7억1,300만 원으로, 2019년 상위 1%(27명)의 연평균 수입(6억7,100만 원)보다 6.3% 늘었다. 상위 1% 총수입(2,439억 원) 비중도 창작자 전체 수입의 28%에 달했다. 반면 하위 50%(1만7,110명)의 연평균 수입은 2019년(100만 원)보다 60만 원이나 쪼그라든 40만 원에 그쳤다. 1인 미디어 창작자 연평균 수입은 2,500만 원으로 2019년(3,200만 원)보다 700만 원 줄었다.
탈세가 없을 수 없다. 2월 국세청이 탈세가 의심되는 유튜버 등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힌 배경이다. 양 의원은 “과세 당국이 탈세 혐의자들을 엄중하게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