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눈 밑이 ‘파르르~’…마그네슘 부족 때문?

입력
2023.05.07 08:20
20면
0 0
눈 떨림 증상은 대부분 수면 부족, 피로 누적, 마그네슘 등 전해질 불균형으로 생기지만 삼차신경통 때문에도 발생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눈 떨림 증상은 대부분 수면 부족, 피로 누적, 마그네슘 등 전해질 불균형으로 생기지만 삼차신경통 때문에도 발생한다. 게티이미지뱅크

한쪽 눈이 떨리는 가장 흔한 이유는 스트레스와 피로 누적, 마그네슘 등 전해질 불균형 등이다. 하지만 문제가 해결됐음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안면경련을 의심할 수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만성피로는 자율신경계 중 몸을 흥분시키는 교감신경을 자극해 근육을 긴장하게 한다.

피로 물질인 젖산이 근육에 잘 쌓이게 돼 근육 경련이 나타나기 쉬워진다. 이땐 휴식을 충분히 취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잠자지 못해도 눈 주변 근육 흥분도가 올라가 눈이 떨릴 수 있다.

카페인을 과다 섭취했을 때도 눈 밑이 떨릴 수 있다. 카페인도 교감신경을 자극해 각성 효과를 일으키는데, 각성이 너무 되면 안면신경이 자극돼 눈 떨림이 발생할 수 있다. 카페인이 원인이라면 커피를 1주일 정도 끊어 증상이 완화되는지 살펴보면 된다.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오래 봐 주변 근육이 피로한 것도 원인이 된다. 이때는 눈 주변 근육을 이완하는 온찜질을 하거나, 스마트폰 등을 덜 봐 눈 피로를 덜어주는 게 좋다.

대표적인 뇌신경 기능 장애 질환인 안면경련으로도 눈이 떨릴 수 있다. 안면경련은 12개 뇌신경 가운데 얼굴 운동을 담당하는 7번 뇌신경인 안면신경과 관계 있다. 얼굴은 수없이 많은 근육으로 이뤄지고 이를 통해 눈을 감거나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다.

허륭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안면신경이 과민 반응하면 경련이 나타나는데 대부분 얼굴 한쪽에만 나타나는 ‘반측성 안면경련’으로 본인 의지와 관계없이 눈과 입 주변에서 경련이 일어나게 된다”며 “안면경련은 대부분 눈 주변에서 시작해 입 주변까지 퍼져나간다”고 했다.

반측성 안면경련은 신경 전기 생리 검사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있다.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부갑상선 호르몬에 이상이 있어도 신경이 지나치게 흥분하면서 눈 밑이 떨릴 수 있는데, 이때는 한쪽이 아닌 양쪽 눈 밑이 떨린다.

흔히 안면경련을 전해질 불균형인 마그네슘 부족과 혼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엄연히 다른 질환이다. 마그네슘은 우리 몸 근육을 안정시키는 근육 안정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우리 근육 안정이 깨지면서 특히 안면에 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

증상은 주로 눈 밑 주변 근육이 파르르 떨리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한쪽에만 나타나는 게 아니라 양쪽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어제는 오른쪽, 오늘은 왼쪽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식이다. 이때는 마그네슘을 보충하면 증상이 없어진다. 얼굴 한쪽에만 나타나는 반측성 안면경련과 차이가 있다.

삼차신경통으로 눈이 떨릴 수 있다. 얼굴 움직임은 안면신경이 담당하지만 감각과 통증을 전달하는 역할은 5번 삼차신경이 한다. 삼차신경은 신경이 세 개(三)의 가닥(叉)으로 갈라져 각각 이마와 눈 주위, 광대뼈 주변, 턱 주변을 담당하는데 이 신경을 따라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것이 안면통증, 즉 삼차신경통이다.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출산 고통 이상”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극심한 편이다. 통증 평가 척도인 ‘바스(VAS) 스코어’에서 가장 심한 통증 점수인 10점까지 기록될 정도다. 보통 10점은 죽고 싶을 만큼의 통증으로 이해된다. 출산은 보통 8~9점 정도다.

통증은 주관적이므로 객관화하기 위해 적외선 체열 검사를 하게 되는데, 급성 통증이라면 체열이 올라가는 현상을 보이는 반면, 만성일 때는 체열이 내려간다.

허륭 교수는 “삼차신경통 증상은 식사할 때, 물 마실 때 유독 더 심해지기도 하는데 이를 치통으로 오인하고 치과를 찾는 이가 많다”며 “치과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신경외과에서 진단을 받는 게 좋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