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현재 390개에서 851개로
184개 새로 설치, 타 기관 소유 277개 편입
현재 390개인 국가 지진관측소가 2027년까지 851개로 늘어나 지진 경보 속도가 2초 빨라진다.
20일 기상청은 2027년까지 지진관측소 461개를 추가하는 '고밀도 국가 지진관측망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 184개는 새로 설치하고 277개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이 소유한 관측소를 국가 지진 관측 용도로 편입할 예정이다.
확충하는 관측소 중 329개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 주요 단층 지역, 수도권 등이 포함된 '집중 감시구역'에 할당한다. 나머지 132개는 일반 감시구역에 배치한다.
지진관측소는 지진 대응의 핵심 요소다. 현대 과학으로는 지진이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어 발생 후 최대한 빨리 감지하고 전파하는 게 중요하다. 그간 연구에 따르면 지진 발생 후 충격파(2차파·S파)가 오기 5초 전에 경보를 받으면 책상 아래 등으로 급히 피신하는 '근거리 대피'가 가능해 생존율이 80% 이상 올라간다.
정현숙 기상청 지진화산국장은 "경남 진주, 경북 포항 지진을 겪으며 관측소를 2016년 156개에서 현재 390개까지 늘렸다"며 "지난 1월에도 인천 강화 해역에서 진도 3.7 지진이 발생하는 등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관측소가 늘어나면 집중 감시구역의 탐지 속도가 1.4초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지금은 관측소가 평균 16㎞ 거리에 한 개씩 있어 탐지에 3.4초가량 걸린다. 관측소 간격을 평균 7.2㎞로 줄이면 탐지 속도가 2초 정도 빨라진다.
동시에 근거리 대피가 가능한 지역은 반경 4㎞가량 넓어진다. 현재는 진원지 반경 40㎞ 바깥까지만 충격파 도달 5초 전에 경보가 울리는데, 2027년에는 36km까지도 5초 전 경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일반 감시구역은 관측소 간 평균 간격을 16㎞에서 13.8㎞로 줄여 탐지 시간을 2.7초로 약 0.7초 앞당긴다.
정현숙 국장은 "탐지된 지진을 분석하고,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시간도 현행 5초에서 3초까지 줄일 예정"이라며 "결과적으로 충격파가 도달하기 전 사전 경보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이 약 73%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