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한국형 '로제타폴드', 'K-MELLODDY' 등 추진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신약 10개 개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민·관 연구개발(R&D)에 25조 원을 투자한다. 2027년 연 매출 1조 원 이상인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 글로벌 50대 제약사 3곳을 배출해 제약바이오산업 6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제약산업육성·지원위원회를 열어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의결했다. 지난 2월 28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발표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의 후속 조치다.
△연 매출 1조 원 이상 신약 2개 △연 매출 3조 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사 3곳 △의약품 수출 2배(지난해 81억 달러→160억 달러) △제약바이오 양질의 일자리 누적 15만 개 △임상시험 글로벌 3위가 향후 5년간의 목표다. 현재는 블록버스터급 신약과 글로벌 50대 제약사가 하나도 없다. 2021년 기준 제약바이오 일자리는 12만 개, 임상시험 글로벌 순위는 6위다.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은 R&D 투자다. 복지부는 5년간 민·관을 합친 투자액을 25조 원으로 잡고 있다. 범부처 협의체를 가동해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항체약물복합체(ADC) 등 차세대 유망 10대 신기술을 발굴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 디지털 전환을 가속, 한국형 '로제타폴드'(미국 워싱턴대의 딥러닝 적용 단백질 3차 구조 예측·분석 프로그램)도 구축할 예정이다. 분산형 학습기법인 '연합학습'에 기반한 유럽 제약사들의 AI 신약 개발 프로젝트 'MELLODDY'를 벤치마킹한 'K-MELLODDY', 100만 명 유전체를 모은 '데이터뱅크'도 추진한다.
지난해부터 조성 중인 'K-바이오백신 펀드'는 1조 원까지 확대하고 우수 인재가 제약바이오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의사과학자와 석·박사급 연구자를 5년간 2,000명 양성할 계획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바이오인력 양성 허브를 총괄하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는 2027년까지 설립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향후 5년이 제약바이오 글로벌 중심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결정적인 시기"라며 "과감한 혁신과 투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관계 부처와 산업계, 전문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