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공략이 정치적 유리 판단한 것"
5월 대규모 집회·7월 총파업 "불가피"

양경수(앞줄 오른쪽 두 번째) 민주노총 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노조법 개정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일부 건설노동조합의 불법행위를 ‘건폭’(建暴)이라 부르며 근절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정부가 ‘레고랜드발 채권 시장’ 경색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노조를 때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 위원장은 23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레고랜드 사태를 시작으로 해서 유동성 위기가 왔다”면서 “이 위기가 결국 건설자본들의 위기로, 그리고 원자재 가격 상승이나 분양시장 위축으로 이어져 건설자본들이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었다며 ‘건폭’ 발언이 나온 배경을 추측했다. 그는 “이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설노조 때리기를 아주 전방위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민주노총 내에서 건설노조가 가장 투쟁력이라든지 조직력이 높기 때문에 이를 위축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 위원장에 따르면 민주노총 전체 노조원 120만 명 중 건설노조 조합원은 10만 명 정도다.
정부가 국민의 주거 문제에 대한 책임도 건설노조에 떠넘기고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그는 “분양가가 가파르게 올라 있고 또 서민들의 주거 문제가 계속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노조한테 시달리고 노조한테 돈 많이 줘서 분양가 올라갔다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면서 “그런 책임을 전부 다 노조에 돌리려고 하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고 봤다. 양 위원장은 정부 입장에 맞서 윤석열 정부 출범 1년째에 접어드는 5월 1일 노동절 때 대규모 집회를 여는 데 이어 7월 총파업 투쟁을 펼치겠다고 예고하며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21일 일부 건설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 “건폭’이라고 표현하며 엄정 조치를 지시했다. 20일에는 회계장부 제출을 거부한 노조들을 향해 세액공제 중단 등의 조치를 지시해 노동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