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연체율 문제 수준 아니지만
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화하겠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부동산 경기가 둔화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2금융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이 8% 이상 치솟으면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국내 전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25조3,000억 원으로, 2021년 말(110조2,000억 원)보다 15조1,000억 원 증가했다. 2020년(90조3,000억 원)과 비교하면 35조 원이나 급증한 규모다. 보험이 44조1,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34조1,000억 원) △여신전문(27조1,000억 원) △저축은행(10조7,000억 원) △상호금융(4조8,000억 원) △증권(4조5,00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규모와 함께 연체율도 상승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전 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연체율은 0.9%로, 2021년 말(0.38%)보다 0.53%포인트나 상승했다. 연체율이 올라갔다는 의미는 금융회사에 제때 원리금 상환을 하지 못하는 시행사(차주)가 늘었다는 뜻이다. 은행과 상호금융을 제외한 모든 업권의 연체율이 상승했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상승폭이 제일 컸다. 증권사 연체율은 8.2%로 2021년 말(3.7%)보다 4.5%포인트가 치솟았다. 2019년 말(1.3%)과 비교하면 무려 6배 넘게 급등한 것이다. 저축은행 역시 2.37%로 2021년 말(1.19%) 대비 1.18%포인트 올랐고, 여신전문도 1.07%로 0.6%포인트 상승했다. 은행과 상호금융은 각각 0.03%·0.09%로 유지됐다.
금감원은 전체 증권사 자산 규모를 고려했을 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 자산 규모(600조 원) 중 PF대출이 0.75%이고, 이 중 8%에서 연체가 발생한 것"이라며 "다른 업권 대비 PF대출 규모가 작기에 1, 2곳에서 연체가 발생하면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는 구조라 아직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금감원은 연체율이 급격히 오르고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현재 개별 금융권역별로 관리되고 있는 부동산 PF 관리체계를 '사업장 단위로' 개편해 PF 개발사업 유형(주택·물류·사업용 시설 등) 및 진행상황(공정률·분양률 등)에 대한 분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