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홍수 예보를 강화하고, 2030년까지는 전 국토의 30%를 생물 보호 지역으로 설정할 예정이다. 2일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물관리·자연보전 분야 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대하천 75곳에서 발효되는 홍수 예보는 전국 지류 지천을 포함한 233곳으로 확대된다. AI 기술을 기반으로 홍수 예측을 자동화하기 때문이다. 예보 시간도 현행 3시간 전에서 6시간 전으로 빨라진다. 환경부는 AI 예보를 올해 홍수기부터 서울 도림천에 시범 적용한 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에서 추진되는 대심도 빗물터널 설치 작업은 올해 8월 설계에 착수할 예정이다. 대심도 빗물터널은 지하 40~50m에 설치하는 지름 10m 규모 대형 우수관을 뜻한다. 하수관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집중호우 때 일시적으로 빗물을 보관할 수 있다. 지난해 여름 기록적인 폭우로 강남 일대가 물에 잠긴 후 침수 대책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지난해 8월 집중호우 당시 범람한 도림천 유역에는 올해 11월부터 지하방수로를 건설한다. 지하방수로 역시 지하에 설치된 저류지로, 급성 호우 때 빗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 밖에 환경부는 올해 하수관로 용량을 키우는 등 하수도 시설 개량에 1,541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한편 2030년까지 국토의 30%는 보호 지역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경북 군위군 팔공산 도립공원은 국립공원으로 승격되고 대전 갑천습지 등 3개소는 습지보호지역, 전남 신안군 진섬 등 50곳은 특정도서, 충남 금산군 금강 유역은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훼손된 생태계 30%를 복원할 계획이다.
보호 지역 확대는 지난해 12월 유엔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에 따라 결정됐다. 이 같은 내용은 연내 작성될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에 담길 예정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