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월째 고물가 지속... 공공요금 급등 파장
생활물가 6.1%↑... 연초 제품값 상승 영향
한은 "예상대로"... 3월까지 5% 안팎 가능성
전기료 인상 등의 여파로 새해 첫 달 물가 상승률도 1년 전 대비 5%대 고공행진을 이어 갔다. 연초 식품과 외식 가격 상승이 포개지며 체감도는 더 높았다. 5% 수준 고물가가 일단 1분기까지는 지속되리라는 게 정부 전망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2% 올랐다. 물가 상승률이 5% 위에 머물고 있는 것은 작년 5월(5.4%)부터 9개월째다.
흐름도 다시 오름세다. 지난해 10월(5.6%→5.7%) 이후 3개월 만에 전월(5.0%)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전월 대비 상승률(0.8%)도 2018년 9월(0.8%) 이후 가장 가팔랐다.
지난달 고물가는 전기료 등 공공요금 급등과 연초 계절적 요인이 맞물린 결과다. 특히 전기료 상승 영향이 컸다. 지난해 말 산업통상자원부가 킬로와트시(㎾h)당 13.1원을 올려 올 1분기 전기료를 책정했는데, 작년 한 해 인상액(19.3원)의 70%에 육박하는 인상폭이었다. 지난달 전기ㆍ가스ㆍ수도 물가(28.3%)가 2010년 별도 집계 시작 이래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것도 그 파장이다.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는 1년 전보다 각각 36.2%, 34.0% 올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기ㆍ수도ㆍ가스의 (전체 물가) 기여도가 전기료 상승 등 영향으로 전달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고 말했다.
채소류 가격도 많이 올랐다. 강설과 한파 탓이다. 오이(25.8%)와 파(22.8%), 양파(33.0%) 등의 오름폭이 컸다. 축산물 중에는 닭고기(18.5%) 가격이 많이 뛰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유행 때문이다.
연초 가격 조정은 개인서비스 물가(5.9%)를 끌어올렸다. 전월(6.0%)보다 소폭 둔화했지만 오름세가 지속됐다. 외식 물가 상승률(7.7%)은 여전히 높고, 공동주택관리비(5.8%)와 보험서비스료(12.0%)의 경우 통상 연초마다 비싸지는 품목이다.
다만 석유류 가격 오름폭(5.0%)은 최근 국제유가 하락 덕에 전월(6.8%)보다 둔화했다.
연초 상향 조정된 식품ㆍ외식 가격과 설에 집중된 수요는 전월보다 생활물가지수 상승폭을 키웠다(5.7%→6.1%).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되는 458개 상품ㆍ서비스 품목 중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도록 만드는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다.
한 번 올라가면 잘 떨어지지 않아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드러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역시 5.0% 올라 전월(4.8%)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이는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당분간 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으리라는 건 물가 관리 당국이 예상했던 바다.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이날 주재한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물가가 다소 높아졌지만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당시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며 “이달도 5% 내외 상승률을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도 1분기까지 물가 상승률이 5% 안팎을 유지하다 2분기부터 서서히 내려가 하반기에 3%대로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변수는 중국이다. 중국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가 너무 빨리 개선될 경우 원자재 수요가 급증해 국제유가 등이 뛸 수 있다고 한은은 우려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