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금주법 시대를 우회한 사람들

입력
2023.01.16 04:30
26면
0 0

1.16 금주법의 배경

금주법을 우회할 목적으로 제조·판매된 건조 와인 덩어리. vinepair.com

금주법을 우회할 목적으로 제조·판매된 건조 와인 덩어리. vinepair.com

1919년 1월 16일 미국 수정헌법 18조, 즉 주류의 생산 판매 수송이 전면 금지되는 금주법 시대가 시작됐다. 금주법은 여성단체 및 개신교 사회개혁 운동가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형식이었지만, 헌법까지 손봐가며 감행한 진짜 배경은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 전시 군수 식량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독주 양조를 금지했던 미 연방공화국은 전후 전쟁으로 피폐해진 유럽에 식량을 지원해야 했다. 외국인, 특히 전범국 독일 출신 시민들에 대한 혐오증이라는 사회문제도 심각했다. 미국 양조산업을 좌지우지하던 게 ‘밀러’ 등 독일계 이민자였고, 금주법 운동가와 정치인들은 “국내에도 적이 있다"며 “가장 비열하고 위협적인 최악의 적은 독일계 양조업자들”이라고 선동했다.

금주법 시대에도 술의 생산 판매 수송만 규제했지, 마시는 건 불법이 아니었다. 집에 비축해둔 와인과 위스키는 언제든 마실 수 있었고, 부유한 술꾼들은 대규모 와인 저장고를 미리 갖추기도 했다. 성사 와인 등 종교적 목적의 주류 유통도 합법이어서 유대교 랍비나 가톨릭 사제들은 음주의 특권을 누렸다. 치통이나 독감 치료 등 ‘약용 위스키’의 약국 판매도 허용됐다. 물론 약을 사러 오는 이들 중 다수는 꾀병쟁이였고, 꾀병 여부를 확인하기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었다. 양조업자들은 규제 기준(알코올 0.5%) 미만의 맥주 또는 포도 농축액을 말린 이른바 ‘와인 덩어리(Wine bricks)’를 만들어 팔기도 했다. 성실한 주당들은 그것들을 사 와 효모와 물을 첨가해 직접 발효시켜 술을 만들어 마셨다. 마피아 밀주와, 최소 1만 명의 목숨과 건강을 앗아간 공업용·의료용 메틸알코올 말고도 그렇게 금주법 시대의 구멍은 많았다.

1933년 수정헌법 21조(18조 폐지), 즉 금주법 시대 종말의 배경에는 1929년 대공황이 있었다. 금주법 폐지가 당장 5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수를 늘려 뉴딜정책의 국고를 채워줄 것이라는 일석이조의 기대가 작용했다.

최윤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