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406개 기업대상 경영환경실태조사 발표
中 진출 기업 중 절반 이상이 가동률 60% 이하
중국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절반가량이 매출, 이익 부진을 겪는 등 경영 전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는 현지 제조 기업들의 원부자재 공급망을 다양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지만 이들 기업의 중국 의존도는 2년 전 보다 오히려 높아졌다.
산업연구원이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중국한국상회 등과 지난해 9, 10월 중국 진출 기업 406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 환경 실태 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현지 기업들이 원부자재를 확보하는 공급처로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1.3%로 2년 전 조사 때보다 5.5%포인트 늘었다. 원부자재 조달처가 한국이라고 답한 기업은 0.1%포인트 늘어난 24.9%였다. 현지에서 만든 제품을 파는 대상은 중국 기업이 38.5%로 7.0%포인트 늘었다. 또 중국 내 한국 기업이라고 답한 비율은 30.2%를, 한국이라고 답한 비율은 16.8%를 각각 기록했다.
공급망·판매처 중국 의존 2년 사이 더 늘어
연구원 측은 "중국 진출 기업들은 한국과 중국에서 철저하게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글로벌 대외 여건이 바뀌어도 어느 정도 차단된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중국 진출 기업의 경우 한국 상황보다는 "중국 정부 규제, 외국 기업에 대한 차별에 민감하다"는 말이다.
문제는 중국의 대내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사실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에서 매출과 이익이 줄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45.1%로 2021년 조사(27.1%) 때보다 두 배가량 높아졌다. 같은 기간 이익이 감소한 기업도 29.2%에서 51.9%로 늘었다. 지난해 하반기 가동률이 60% 이하였다는 기업은 절반이 넘었고(52.0%), 80% 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3.8%에 그쳤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경영 환경이 눈에 띄게 나빠진 셈이다. 기업들은 이 같은 매출 감소 원인으로 현지 수요는 줄고, 경쟁이 심해지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확산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연구원 "한·중 정책 협의 채널로 리스크 관리해야"
이런 배경으로 중국 진출 기업의 60%는 중국 정부의 규제 정책과 생산 비용 상승, 수요 시장의 변화로 앞으로 대내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감한 대외 환경 변화 요소로는 코로나19, 미중 갈등, 한반도 이슈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앞으로 5년 내 철수나 이전을 고려한다'고 응답한 기업이 9.6%에 달했는데, 기업들은 그 이유로 중국 내 생산비용 상승(38.3%), 경쟁 심화(22.3%)를 주로 꼽았다. 미중 분쟁 때문이라는 기업도 16.0%를 차지했다.
산업연구원은 "중국 진출 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보이지 않는 규제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정책 협의 채널을 통한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