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정치 지도자와 술(酒)

입력
2022.12.05 19:00
25면
0 0
전형일
전형일명리학자·철학박사

편집자주

‘4살 차이는 궁합도 안 본다’는 말은 사주팔자에서 연유됐다. 생활 속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말과 행동, 관습들을 명리학 관점에서 재미있게 풀어본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윤석열 대통령이 정치인 중 가장 존경한다는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는 알코올 중독자였다. 처칠은 하루 종일, 그것도 매일 술을 마셨다. 아침 식사를 마친 뒤 이른바 처칠의 술인 위스키에 소다수를 넣어 한잔하는 것으로 시작,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계속 술을 마셨다. 점심과 저녁 식사 때에는 각종 알코올이 식탁에 넘쳤다.

엄청난 음주량은 대외비가 아니었다. 당시 루스벨트 미 대통령은 "비록 그가 하루의 절반 이상을 취해 있기는 해도 나는 여전히 그가 역대 영국인 중 가장 훌륭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처칠은 한때 한 끼 식사에서 소다수를 넣은 위스키 11병을 마셨다는 기록도 있다.

처칠은 "술이 내게서 앗아간 것보다 내가 술로부터 얻은 것이 많다"며 애주가임을 숨기지 않았다. 하지만 그가 80세까지 맡았던 책임 있는 자리와 그동안 이룬 업적을 고려한다면 알코올에 대한 의존성이 그의 건강이나 능력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처칠을 읽는 40가지 방법')

처칠의 낭만적인 음주와 달리 술로 인해 결국 정치 인생을 끝낸 정치 지도자도 있었다.

1995년 어느 날 밤 백악관 바로 앞 미국 정부의 국빈 전용 숙소인 블레어 하우스 앞에서 속옷 차림으로 택시를 잡으려는 사람이 있었다. 만취한 그는 바로 미국을 방문 중인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이었다. 그는 취한 목소리로 경호원에게 피자를 사러 간다고 말했다. 그다음 날 밤에도 경호원 숙소 지하실 근처에서 술에 취해 비틀거리고 있는 옐친이 발견됐다.

옐친의 음주 기행은 그 전부터 계속됐다. 1994년 통일 독일을 공식 방문했을 때도 술에 취해 예정에도 없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베를린시 야외공연장에서 열린 환영 음악회에서 술에 취해 연주 중인 오케스트라 지휘자의 지휘봉을 빼앗아 지휘하는 돌발 행동을 벌였다. 당시 독일 텔레비전을 통해 생방송 된 이 장면은 전 세계 안방에 전달됐다. 옐친은 이후에도 끊임없는 음주 만행 등으로 결국 두 번째 임기 도중인 1999년에 스스로 하야했다.

최근 12년 만에 재집권에 성공한 '남미 좌파의 대부'로 불리는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은 과거 그의 음주와 관련돼 외교 문제로 비화된 적이 있었다.

2004년 5월 9일, 미국 '뉴욕타임스(NYT)'에서 룰라 대통령을 '폭음을 일삼는 술꾼'으로 묘사하며, 이런 술버릇이 대통령직 수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요지의 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는 일약 국제 문제로 떠오르게 된다.

브라질 정부는 뉴욕타임스 측이 사과 의사를 보이지 않자 기사를 작성한 기자의 비자를 취소하고 추방을 명령하는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 가뜩이나 그해 초 미국이 자국 입국 시 지문날인 대상국에 브라질을 포함하자, 브라질도 똑같은 조치를 적용하며 감정이 악화된 상태였다. 파국으로 치닫던 상황은 문제의 기사를 쓴 특파원이 사과하고 브라질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며 일단락됐다.

하지만 룰라 대통령이 술을 좋아하고 많이 마신다는 사실 자체는 변함이 없었기 때문에 이후에도 그를 공격하는 측의 단골 소재가 됐다. ('세계지도자와 술')

특별히 술이 아니더라도 음식을 좋아하고 풍류를 즐기는 것은 사주(四柱)로 알 수 있다. 사주에 식상(食傷, 食神·傷官)이 있는 경우가 그렇다. 다만 식신이 음식과 가무(歌舞)를 마다하지 않는다면, 상관은 까다로우나 능동적으로 즐기는 것에 차이가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알려진 팔자(八字) 중 여섯 글자(年月日)에 상관이 두 개다.

한때 인물평에 장점으로 부각됐던 두주불사(斗酒不辭)란 표현도 사라진 지 꽤 됐다. 또 음주 문화에 관대했던 '술 권하는 사회' 분위기도 변하고 있다.

과음은 개인 건강뿐 아니라 정사(政事)에도 해롭다.

전형일 명리학자·철학박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