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공급물량 증가한 비수도권
집값 하방 압력, 수도권보다 클 전망
부동산 가격 하락세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겠지만 금융위기 때와 같은 장기침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7일 발표한 ‘KDI 부동산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수준의 부동산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선을 그었다. 연구를 진행한 오지윤 연구위원은 현재와 금융위기 때의 부동산 하강 원인이 다르고, 현재의 소득 여건이 양호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는 “금융위기 당시 주택가격 하락은 소득 충격(감소)과 공급 확대에서 비롯됐다”며 “전격적인 금리 인하에도 공급량이 많고 전세가율(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 비율)이 낮았던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 하락이 장기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주택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금리 인상을 꼽았다. 오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실질소득 여건은 나쁘지 않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서비스 소비가 지속되면서 올해 상반기 실질 가계 최종 소비는 1년 전보다 4.1% 확대됐다.
부동산 하락세는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큰 원인은 급격한 금리 인상이다. 오 위원은 “주택시장은 금리 변동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린 편이어서 최근의 금리 인상은 주택시장에 시차를 두고 반영될 예정”이라며 “주택 가격은 내년 상반기까진 하방압력이 우세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락폭은 공급량이 많은 비수도권이 더 클 전망이다.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은 17만6,000호로 올해보다 오히려 2,000호 적다. 이에 반해 비수도권에선 올해 15만3,000호에서 내년 16만8,000호로 약 9.8% 늘어난다.
내년 상반기 이후 부동산 시장 상황에 대해선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 위원은 “내년 하반기부터는 물가와 소득, 금리 경로가 주택시장 참가자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면서 주택시장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며 “통화정책 기조가 변하는 시점이 되면 금리 인하와 소득 둔화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주택 가격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