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피싱 피해 증가... 고령층 취약
새출발기금 등 정책금융 빙자 사기도
A씨는 모르는 번호로 ‘엄마, 나 딸인데 휴대폰이 고장나서 친구폰으로 연락해’라는 문자를 받았다. 휴대폰 수리 보험금을 청구하려면 보호자 정보가 필요하다는 말에 A씨는 별다른 의심 없이 신분증 사진과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내줬지만 사기였다. A씨 명의로 오픈뱅킹서비스를 신청한 사기범은 여러 은행 계좌에 흩어진 잔액을 순식간에 빼갔다.
금융감독원은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피싱과 정부지원 대출ㆍ채무조정 등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늘고 있다며 6일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메신저피싱 피해 금액은 올해 상반기 4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억 원(10.9%) 줄었지만, 피해 비중은 8.4%포인트 증가한 63.5%에 달한다. 특히 피해액의 58.9%가 60대 이상에서 발생, 고령층이 피해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메시지나 메신저로 가족이나 친구를 사칭하면서 휴대폰 고장이나 교통사고 합의금, 병원 치료비 마련 등 긴급한 사정을 호소하는 수법이 일반적이다. 이후 피해자에게 신분증 사진이나 계좌번호, 신용카드 번호 등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돈을 편취하는 것이다.
저금리 대환대출, 새출발기금 등 정책금융 상품을 빙자한 보이스피싱도 활개를 치고 있다. 금융회사나 공공기관 명의로 정부 대출 또는 기금 신청 대상자로 선정됐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내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다. 저금리 대환대출 등을 위해선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거나, 추가 대출을 받은 뒤 즉시 갚아 신용평점을 높여야 한다고 유도, 대출금 등을 가로채는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은 가족이나 지인의 메시지라도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면 일단 거절한 뒤 직접 전화로 본인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제도권 금융회사와 공공기관은 문자나 전화로 광고하거나 개인정보 제공 및 송금을 절대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념해달라”고 강조했다.
출처가 불분명한 URL 주소는 절대 클릭하면 안 되고, 이미 악성앱이 설치됐다면 ①백신앱 검사 후 삭제하거나 ②휴대폰을 초기화하고 ③서비스센터 등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했을 땐 금융회사나 금융감독원 콜센터에 전화해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하면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