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단독 치킨 튀겨 판 돈 누가 벌까...사모펀드가 설계한 수익구조 실체

입력
2022.10.06 04:00
수정
2022.10.06 08:04
1면
0 0

[치킨 공화국의 속살]
가맹점 필수로 사야 하는 '원부자재'에 마진 극대화
수익 90%가 가맹사업에서...본사는 '배당금 잔치'
영업이익률 32% bhc, 버는 족족 배당금으로 나가
이익 극대화 엑시트 목표 사모펀드 "점주 나몰라라"
김회재 의원 "매각할 땐 점주 상생방안도 고려해야"

서울 시내의 한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점주가 치킨을 튀기고 있다. 한지은 인턴기자

서울 시내의 한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점주가 치킨을 튀기고 있다. 한지은 인턴기자

돈 냄새를 잘 맡는 사모펀드가 치킨업계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2013년 미국계 사모펀드가 치킨 프랜차이즈 bhc를 인수해 5년 만에 원금의 5배에 달하는 고수익을 낸 것을 시작으로 노랑통닭과 맘스터치 등이 잇따라 사모펀드에 인수됐다.

bhc는 지난해 32.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2020년(32.5%)에 이어 2년 연속 30%대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교촌(8.06%) △제너시스 BBQ(16.77%) △굽네치킨(8.42%) 등 경쟁사와 비교하면 경이로운 수치다. 최근 2년간 국내 외식업계 평균 영업이익률은 8.5%였다.

하지만 하루 12시간 뜨거운 기름통 앞에서 치킨을 튀긴 가맹점주들은 정작 높아진 영업이익률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프랜차이즈의 사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본사와 가맹점 사이의 물품 거래를 기반으로 한다. 본사가 이익을 많이 낼수록 가맹점주 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bhc처럼 사모펀드 투자를 받은 프랜차이즈가 특히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다 보니, bhc 수익 모델은 업계와 학계의 연구 대상으로 떠올랐다. 본사가 돈을 많이 벌고 있는데도 가맹점주 표정은 밝지 않아, 그 이유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커졌다. 한국일보는 bhc 사례를 통해 사모펀드가 설계한 프랜차이즈 수익구조의 실체를 들여다봤다.

2013~2017년 감춰져 있던 bhc 회계자료 입수

그래픽=송정근 기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bhc의 2013~2017년 회계자료와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bhc를 인수했던 사모펀드들은 가맹점주와의 거래를 통해 본사 영업이익률을 극대화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가맹점에 공급하는 각종 원재료와 필수품목을 비싸게 팔아 본사가 취하는 이익을 늘린 뒤, 이를 배당금 형태로 빼갔다. 외식 프랜차이즈를 인수한 사모펀드의 구체적 수익구조가 객관적 수치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가맹점을 착취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수익구조는 사모펀드 인수 초반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bhc는 2013년 5월 미국계 사모펀드인 로하틴그룹(당시 CVCI)에 인수됐다. 로하틴그룹은 해외에 FSG(프랜차이즈서비스글로벌리미티드)를 설립해 bhc 지분 100%를 인수했고, 국내에는 FSG의 종속기업인 FSA(프랜차이즈서비스아시아리미티드)를 만들어 bhc를 운영했다. FSG가 FSA를 통해 bhc를 지배했던 2013~2016년 bhc의 실적은 수직 상승했다.

하지만 이 기간 bhc의 구체적인 금융거래는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다. bhc의 실질적 지배회사인 FSG가 대표적 해외 조세피난처로 알려진 몰타에 설립된 데다, bhc가 사모펀드에 인수된 뒤 주식회사에서 유한회사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유한회사는 외부에 감사보고서를 공시할 의무가 없어 배당금으로 얼마가 빠져나갔는지, 원가율이 어떻게 변했는지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회계 자료에 기록된 bhc의 이익 창출 전략

그래픽=송정근 기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bhc가 미국의 대표 기업인 구글과 애플보다 높은 30%대 영업이익률을 낼 수 있었던 비법은 무엇일까. 한국일보가 분석한 bhc의 회계자료에는 bhc 본사가 이익을 내며 남긴 흔적들이 선명히 남아 있었다. 사모펀드가 설계한 ‘가맹점 거래를 통한 수익 극대화’ 방식은 4가지 지표를 통해 확인된다. ①가맹사업 매출 비중과 상품 매출 비중 ②가맹사업 원가율과 매출총이익 ③영업이익 ④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등이다.

bhc와 사모펀드는 가맹점주에 파는 필수품목 매출을 늘리고, 필수품목에 본사 마진을 높게 붙여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택했다. ①회계자료에 따르면 2013~2016년 전체 매출 가운데 가맹사업 매출비중은 12%포인트(2013년 76.71%→2016년 88.38%) 증가했다. 가맹사업 매출 가운데 가맹점 상품매출 비율 역시 12%포인트(80.93%→91.87%) 높아졌다. bhc 본사 매출의 90%가 가맹점에 필수품목을 거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의미다.

②이 기간 동안 가맹사업 원가율은 6%포인트(61.84%→55.76%) 감소했다. 가맹점에 원부자재료 등을 팔 때, bhc 본사가 부담하는 비용이 줄었다는 뜻이다. 원가율이 낮아진 만큼, 본사가 가져가는 유통마진은 증가(34.15%→41.24%)했고 가맹점 수익은 줄어들었다.

수익 90%가 가맹사업에서... 3년 동안 영업이익 16% 증가

그래픽=김대훈 기자

그래픽=김대훈 기자

다른 지표들도 bhc 본사가 가져간 유통마진이 증가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③이 기간 bhc의 영업이익은 무려 16%포인트(16.95%→30.27%) 급증했다. 영업이익 중 가맹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6.17%에서 94.46%로 크게 늘어난 반면, 물류와 생산사업 비중은 감소했다.

④EBITDA는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등을 차감하기 전 영업이익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다. 이 기간 EBITDA는 16%포인트(17.22%→30.52%) 증가했다. 점주들은 매달 본사에 원부자재를 현금으로 구매하는데, 본사가 유통마진을 많이 붙인 만큼 영업이익과 EBITDA가 증가한 것이다.

버는 족족 배당금으로 빼간 bhc와 사모펀드

그래픽=송정근 기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문제는 본사가 가맹점주에게 돌아갈 몫을 줄이면서, 수익이 소수의 주주들에게만 돌아갔다는 점이다. bhc와 지배기업이었던 FSA, FSG, GRG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매년 최소 수백억 원을 배당금으로 가져간 것으로 확인됐다. bhc 지배기업이었던 FSA는 △2013년 240억 원 △2014년 300억 원 △2015년 270억 원을 가져갔다. 이 돈은 최상위 지배기업이자 몰타에 설립된 FSG로 흘러 들어갔다.

2018년 기존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고, 글로벌레스토랑그룹(GRG)과 박현종컨소시엄 펀드가 bhc 지배기업인 FSA를 인수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FSA는 배당금으로 1,340억 원을 가져갔고, GRG는 640억 원을 빼갔다. △2019년 1,436억 원 △2020년 400억 원 △2021년 750억 원이 bhc에서 GRG로 나갔다.

그래픽=김문중 기자

그래픽=김문중 기자

2019년 사모펀드 MBK 파트너스가 bhc 대주주가 된 뒤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교촌과 제너시스BBQ 등 사모펀드 지분이 없는 다른 치킨 프랜차이즈의 경우, 가맹사업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0%대이지만, bhc는 90%를 웃돌고 있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bhc는 당기순이익 대부분을 배당금으로 지급하지만, 다른 치킨업체들은 투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bhc는 2020년 752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는데, 그중 750억 원을 현금 배당했다. 2021년에도 당기순이익의 대부분인 1,568억 원을 현금 배당했다. 이익 대부분이 하루 12시간씩 뜨거운 기름통 앞에서 치킨을 튀기고 있는 가맹점주가 아니라, 소수의 주주들에게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MBK는 이에 대해 김회재 의원실에 보낸 답변서를 통해 “MBK파트너스는 배당을 통해서 이익실현을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bhc는 “답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했다.

본사가 '배당 잔치'를 하는 동안, 가맹점주들의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bhc 8년 차 가맹점주 A씨는 “본사는 역대 최고 실적을 냈지만 점주들이 본사에 원부자재 가격으로 내는 대금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며 “본사는 수백억 원의 배당금을 빼가면서 지난해에는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이유로 점주들에게 공급하는 원부자재 가격을 7번이나 올렸다”고 울분을 토했다.

"사모펀드는 '멈출 수 없는 외발자전거'...상생 방안 마련돼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 의원실 제공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 의원실 제공

bhc처럼 외식 프랜차이즈를 인수한 사모펀드가 가맹점을 쥐어짜 과도한 영업이익률을 기록해도 당국의 제재나 감독 수단은 마땅치 않다. 특히 대다수 사모펀드는 국내 투자 중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을 피하기 위해 조세회피처에 법인을 만든 뒤 이를 지배기업으로 내세워 투자하고 있다. 과세 사각지대가 있는 셈이다.

사모펀드와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이 공존하기엔 성격이 맞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프랜차이즈는 본사와 가맹점 사이의 물품 거래를 토대로 마진을 남기기 때문에, 본사 수익이 극대화할수록 가맹점 수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사모펀드는 보통 3~5년 동안 단기 성과를 낸 뒤 재매각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면 소상공인이 중심이 된 가맹점 생태계가 붕괴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회재 의원은 “거대 사모펀드는 투자금 이상의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에 ‘멈출 수 없는 외발자전거’를 탄 경영을 할 수밖에 없다”며 “외식 프랜차이즈를 운용하는 사모펀드가 가맹점주들을 통해 수익을 낸 뒤 매각할 경우, 점주들에게도 이익 일부가 공유될 수 있도록 상생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소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