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20만 원대...봄철 한강 임진강에서만 잡혀
낮은 채산성과 기형 발생 등으로 민간 양식 포기
경기도, 황복 전용 사료와 수질관리기술 개발 착수
경기도가 낮은 상품성으로 민간이 포기한 토종 황복 양식에 도전한다. 황복은 한강과 임진강 등 경기도에서만 잡히는 어종이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이달부터 ‘황복 친환경 양식기술 개발’ 시험연구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황복 양식은 2006년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시작해 2015년 충청남도수산연구소에서 자주복 수컷과 황복 암컷을 교배한 ‘슈퍼황복’이라는 품종을 개발해 민간 양식장에 보급했다.
하지만 5g 내외의 황복 치어를 판매 가능한 크기인 300g 정도로 키우기 위해서는 2~3년의 시간이 필요하고, 양식 기간 꼬리지느러미 소실과 입 모양 이상 등이 발생하면서 상품성이 떨어져 민간의 양식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 황복 소매가격도 뱀장어(㎏당 4만~5만 원)보다 높아 가격경쟁력에서도 우위를 점하지 못해, 민간 양식장은 거의 사라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도는 판매가능한 황복 육성 기간을 현재 2년 6개월에서 1년 6개월로 1년 단축하고, 황복이 가지고 있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EPA와 DHA 등 기능성 물질 향상을 위해 특화된 전용 사료와 수질관리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입 주변 상처와 꼬리지느러미가 없어지는 원인 연구 및 치료대책도 개발할 계획이다.
황복은 복어목 참복과 물고기로 바다에서 2~3년 성장 후 알을 낳기 위해 4~6월에 강으로 올라온다. 산란기인 봄에만 잡히는 고급 어종으로 kg당 20만 원대를 호가한다. 지난해 기준 황복 생산량은 9톤 내외로 유일하게 경기도에서만 생산된다. 이 중 1톤이 양식을 통해 생산됐다. 임진강과 한강에 인접한 파주시와 고양시, 김포시에서는 황복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매년 5㎝ 이상의 황복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 올해도 69만 마리를 방류했다.
김봉현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경기도는 자연산 황복이 유일하게 잡히는 지역이면서 수도권이라는 소비처까지 갖고 있다”며 “황복 양식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양식업체와 소비자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