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7마리 육산도로... 새끼 한 마리 부화
어미·새끼새 전북 고창군 거쳐 중국 칭다오로
"알려진 게 별로 없는 새... 연구 꾸준히"
한때 멸종됐다고 알려졌던 '신비의 철새' 뿔제비갈매기가 우리나라에서 2016년 이후 6번째 번식에 성공했다. 환경부는 세계적으로 100마리도 남지 않았을 정도로 희귀한 뿔제비갈매기를 내년 초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등록할 계획이다.
13일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올해 뿔제비갈매기 한 쌍이 전남 영광군 육산도에서 번식에 성공했으며, 이들을 추적 관찰한 결과 중국 칭다오에서 대만에 이르는 이동경로까지 알아냈다고 밝혔다. 육산도는 2016년 4월 뿔제비갈매기가 최초로 발견된 곳으로, 전 세계 5번째 뿔제비갈매기 번식지로 기록되면서 환경부 특정도서로 지정됐다.
뿔제비갈매기는 1937년부터 2000년까지 무려 63년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2000년 중국 남부의 한 섬에서 4쌍의 번식 개체가 확인됐고, 중국의 적극적인 복원사업 이후 생존 개체 수가 증가해 최근 100여 마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수가 적고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위급'으로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올해 3~6월 육산도에 찾아온 7마리의 뿔제비갈매기 중 한 쌍이 알을 낳아 새끼 한 마리를 성공적으로 키워냈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이 어미새와 새끼새, 또 다른 성조(어른새) 한 마리의 다리에 유색가락지를 끼워 추적한 결과, 어미새와 새끼새는 6월 말 육산도를 떠나 7월 말 전북 고창군 해안 괭이갈매기 무리에서 지내다 8월 중국 칭다오시 해안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됐다. 또 다른 성조 한 마리는 지난해 우리나라에 찾아왔던 새인데, 8월 중국 칭다오시 자오저우만 해안에서 발견됐다.
수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뿔제비갈매기는 대만과 중국 산둥반도, 그리고 우리나라 육산도 등을 주요 서식지로 삼고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생태원 관계자는 "현재까지 중국에서 알려진 번식 실패의 주요 원인은 인간에 의한 불법 알 채취, 태풍, 같은 속인 큰제비갈매기와의 교잡 등이었는데, 우리나라 번식지는 이러한 위험이 없다"며 "뿔제비갈매기 종 보전 차원에서 우리나라 번식지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뿔제비갈매기에 대한 연구는 계속될 전망이다. 한국과 대만, 중국에서 태어난 새들이 모두 중국 칭다오 해안으로 모이는 이유나,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뿔제비갈매기들이 성격이 포악하기로 소문난 괭이갈매기와 평화롭게 잘 지내는 이유 등 규명되지 않은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국립생태원 관계자는 "문화재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지속 모니터링하고, 번식 개체 수를 늘리는 보전 방안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