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이후 최저 기록
6ㆍ1 지방선거 투표율이 50.9%(잠정 집계)로 나타나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불과 3주 만에 치러져 ‘중간평가’ 성격이 가미되지 않았고, 투표 열기를 고조시킬 만한 굵직한 이슈도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유권자 4,430만3,449명 가운데 2,256만7,894명이 투표에 참여해 50.9%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4년 전 지방선거(60.2%)와 비교해 9.3%포인트나 하락했고, 2002년 3회 지방선거(48.9%)에 이어 역대 지방선거 중 두 번째로 낮은 투표율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대선 3개월 뒤 치러지는 ‘대선 연장전’이라는 점에서 투표율이 높지 않겠느냐는 예상도 있었다. 하지만 유권자들은 정반대로 생각한 것 같다. 이강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소장은 “새 정부 출범 직후 선거가 실시돼 지방선거 투표의 중요한 판단 기준인 중간평가를 할 수 없었고,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는 지난 대선으로 이미 끝났다”고 설명했다. 정권심판, 혹은 정권신임이라는 정치적 의사를 표할 유인책이 부족했다는 뜻이다.
‘마의 60%’를 넘긴 2018년 지방선거에 비해 대형 정치 이벤트도 없었다. 4년 전에는 선거 전날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등 국민의 주된 관심이 정치 이슈에 쏠렸다. 문 전 대통령의 지지율도 79%에 달했다. 반면 이번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내홍 등이 부각되면서 중도층의 관심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대선과 달리 2030세대가 민감하게 여길 만한 쟁점도 눈에 띄지 않아 투표를 포기하는 젊은층이 많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사전투표도 전체 투표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지난달 27, 28일 진행된 사전투표율은 20.6%로 역대 지방선거 중 가장 높았다. 역대급 투표율을 점쳤던 이유다. 하지만 1일 본투표율이 30.1%에 그친 것이 컸다. 원래 투표 의향이 있는 유권자들은 적었는데, 사전투표일과 본투표일에 나눠서 하는 ‘분산 효과’만 있었던 셈이다.
지역별로는 광주(37.7%)의 투표율이 최저치를 찍었다. 단독 출마로 인한 무투표 당선과 민주당을 향한 실망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광주에 이어 대구(43.2%)도 투표율이 낮았다. 반면 전남(58.5%)과 강원(57.8%)은 평균 투표율을 크게 웃돌았다.
국회의원 보궐선거 투표율(55.6%)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도 특징이다. 특히 이재명 후보가 출마한 인천 계양을(60.2%), 안철수 후보가 나선 성남 분당갑(63.8%) 투표율은 각각 60%를 넘겼다. 대선주자급 후보에게 쏠린 관심이 투표율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