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400일 기적'… 심장병 어린이, 심장이식 없이 퇴원

입력
2022.05.27 20:16
0 0

서울대병원,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의 자기 심장 기능 회복
국내 최장 체외형 심실보조장치 유지해 544일 만에 퇴원

선천적으로 심장 질환을 앓는 권순후 아기가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를 넣고(왼쪽) 400일 간 유지한 끝에 심장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을 앞두고 있다. 서울대병원 제공

선천적으로 심장 질환을 앓는 권순후 아기가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를 넣고(왼쪽) 400일 간 유지한 끝에 심장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을 앞두고 있다. 서울대병원 제공

태어날 때부터 심장 기능이 17%에 불과해 심장이식이 필요했던 어린이가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를 통해 건강을 되찾고 생후 544일 만에 집으로 돌아간다.

적절한 기증 심장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심장병 어린이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성규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선천적 심장 질환을 앓는 신생아(권순후)가 체외형 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을 받고 국내 최장 기간인 400일 간 장치를 유지한 끝에 심장이식을 하지 않고 심장 기능을 회복해 퇴원을 앞뒀다”고 27일 밝혔다.

권순후 어린이는 산전 검사에서 심근증ㆍ심부전을 진단받았다. 임신 38주차에 3.5㎏의 체중으로 태어났지만 심장 기능이 17%에 불과했다.

약물 치료를 받고 나서도 심부전 증상이 지속돼 심장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이지만 체중이 작은 아기에게 적절한 기증 심장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아기 상태가 악화되자 의료팀은 생후 4개월 되는 시점에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하기로 결정했다.

아기가 성장해 더 큰 심장을 기증 받을 수 있을 때까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는 튜브로 펌프와 좌심실을 연결하고, 펌프를 가동해 혈액 공급 기능을 돕는 의료기기다.

아기는 수술 1개월째 중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옮겨질 만큼 상태가 안정됐고,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의료팀은 수술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 심실보조장치를 제거하려 했지만 아기의 심장 기능이 나빠져 제거하지 못했다. 이후 아기 심장 기능과 발달이 정상 수준으로 개선되자 수술 400일째 되는 지난달 28일 장치를 제거했다. 이 아기의 심장은 현재까지 심실보조장치도 달지 않고 심장이식을 받지 않았지만 힘차게 뛰고 있다.

조성규 교수는 “국내 최장 기간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를 유지한 이 아기의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거의 유일하다”며 “심장이식 대기 중 장치를 삽입해 심장 기능까지 회복했다는 점에서도 이례적”이라고 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체외형 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은 28건이 실시됐으나 심장 기능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온 경우는 이 아기를 포함해 3건뿐이다.

유일한 치료법으로 알려진 심장이식도 감염, 거부 반응 등 합병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 아기의 사례는 자기 심장 회복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환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성규 교수는 “이렇게 오랫동안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를 유지할 수 있을 거라곤 상상도 못 했다”라며 “심지어 심장 기능을 회복해 심장이식을 하지 않고도 아이가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게 된 것은 기적”이라고 했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의료팀과 권순후 어린이·보호자(조성규 흉부외과 교수·왼쪽에서 세번째), 권순후 환아 어머니(왼쪽에서 다섯번째), 권순우 환아(왼쪽에서 여섯번째)가 기념 촬영했다. 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어린이병원 의료팀과 권순후 어린이·보호자(조성규 흉부외과 교수·왼쪽에서 세번째), 권순후 환아 어머니(왼쪽에서 다섯번째), 권순우 환아(왼쪽에서 여섯번째)가 기념 촬영했다. 서울대병원 제공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