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으로 공론화 해 해결책 마련해야
소각장 교체시기...열병합발전소 전환 등 필요
수도권 3개 광역지방정부의 현안인 인천 수도권매립지의 2025년 ‘쓰레기 직매립 종료’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매립지관리공사로부터 나왔다.
신창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이제 주민과 협의체를 구성하는 단계인데 언제 협의를 마치고 자체 매립장을 마련하겠냐”며 “매립장 설치에 4,5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2025년 기한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2025년 매립지 종료를 놓고 이를 관철하려는 인천시와 반대하는 환경부, 서울, 경기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나온 공사의 의견이어서 향후 파장도 예상된다.
신 사장은 그러나 “직매립을 금지하고 소각재를 매립하는 방향은 맞는 것”이라면서 “신진국처럼 재활용율을 높이거나 자원순환 쪽으로 가야하는데 쓰레기를 태워 에너지를 얻는 열병합발전소는 그런 면에서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도권매립지는 매립가스 발전소 2기를 운용하면서 연 10만 가구가 사용할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신 사장은 또 “우리나라의 분리수거 비율은 90%가 넘어 일본에서조차 배우러 왔을 정도”였다며 “버려지는 가연성 쓰레기를 태워 에너지를 얻고, 매립량은 최소화 하는 방안이 지금으로서는 가장 현실적”이라고 덧붙였다.
신 사장은 “선거 이후 4자 협의체에서 현안을 적극 논의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4자 협의체에서 자체 열병합발전소 건립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그는 최종 복토를 앞두고 있는 제2매립장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시민의 숲이 현재로서는 가장 선호도가 높다”면서 “제1매립장처럼 골프장을 건설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 여론이 높은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환경부 산하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지역 공기업화에 대해서는 “수 십년간 사후 관리비용과 매년 200억원이 넘는 돈이 인건비로 나가야 하는데 과연 인천이 이를 무릅쓰고 지방공기업화 하겠냐”면서 “서울, 경기가 지방공기업에 분담금을 적극적으로 낼 가능성도 적어 실익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 사장은 “병은 주위에 알리라는 말이 있듯이 어려운 문제일수록 공론화해서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면서 “지금 전국의 소각장이 노후화해 재설치 시기가 도래한 만큼 열병합발전소로의 전환 등을 적극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