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코로나 때도 재택근무 못 했는데…中企는 영원히 회사 출근할 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코로나 때도 재택근무 못 했는데…中企는 영원히 회사 출근할 판

입력
2022.04.18 04:30
8면
0 0

업종·규모에 따라 '재택근무 불평등'
인력·자본 부족할수록 재택 꿈 못 꿔
"포스트 코로나 이후 격차 더 커질 것"

게이티미지뱅크

게이티미지뱅크

요즘 직장인 사이에 화두인 재택근무는 홍보용 책자 제작사 직원인 박모(33)씨에겐 먼 나라 얘기다. 그는 코로나19가 지배했던 지난 2년 동안도 재택근무 경험이 없다. 백화점 등 대형 고객사 요구를 10명도 안 되는 직원이 수시로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선 상상할 수 없는 근무였던 탓이다.

심지어 코로나19에 확진되어도 온전한 휴식조차 보장받기 어려웠다. 박모씨는 "우리처럼 규모가 작은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에게 재택근무는 코로나19 속에서도 '그림의 떡'이다"라며 "최근 재택근무 체제를 끝내려는 회사 측과 유지하려는 직원들 사이에서 벌어졌단 신경전은 온전히 대기업에만 국한된 얘기다"라고 전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출구전략을 짜는 단계에서도 직군과 회사 규모 간의 ‘재택근무 불평등’이 드러나고 있다. 대체 인원과 재택근무 인프라,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의 경우 그간 재택근무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코로나19가 끝나도 유지할지 여부를 고심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에선 논의조차 어려운 게 현실이다.

박씨는 "지난 2년여를 돌이켜봤을 때 앞으로도 우리 같은 중소기업은 재택근무를 꿈꾸긴 어려울 것"이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무 환경 차이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실제 지난해 말 한국노동연구원 세미나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일수록 재택근무 시행률은 저조했다. 조사 결과 30~99인 규모 기업의 72.5%가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실시하지 않았는데, 이는 100~299인 규모(67.4%)와 300인 이상 규모(51.1%) 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대기업이 아닌 2차 노동시장에 속한 근로자일수록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이 현저히 줄어든 모양새다.

업종에 따른 재택근무 시행 편차도 크다는 게 현장 목소리다. 광고대행사 직원인 이모(41)씨는 “영상 촬영이나 편집이 필수인 데다, 아이디어 회의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메신저보다 대화가 더 효율적이다 보니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일 때도 대부분 회사로 출근해 일을 했다”고 전했다. 한 무역회사 직원은 “노트북 구매 부담은 물론이고 보안 프로그램 설치 등에 비용이 많이 들다 보니, 회사 출근은 불가피했다”고 귀띔했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금융 및 보험업의 재택근무 미반영 비율이 26.2% 수준에 그친 반면 교육 서비스업(70.5%)이나 제조업(81.3%) 분야에선 높게 나타나면서 업종별 차이는 컸다. 광업의 경우엔 업무 특성상 100% 현장 근무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내부에서도 재택근무의 순기능은 인정하는 분위기이지만 문제는 현실이다. 당장 정해진 인력으로 타이트하게 주어진 업무를 수행해야만 돌아가는 중소기업 입장에서 재택근무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한 인테리어 업체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재택근무가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해선 당장 인력도 충분해야 되고 재택근무에 사용될 시스템 도입에도 비용이 필요하다"며 "외부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김형준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