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
수입비용 증가로 수출 채산성 악화 우려도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한국의 신흥국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1일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렇게 분석했다.
통상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감소하는 달러의 유동성이 신흥국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는 중국·베트남 등 수입한 원자재를 가공해 수출하는 신흥국은 수입 비용 및 생산자 물가 상승을 겪게 된다.
또, 금리 인상은 투자심리를 위축시켜 신흥국으로부터 글로벌 투자자본이 빠져나가고 환율이 약화하는 현상도 초래한다. 결국 미 금리 인상이 신흥국 경기를 침체시켜 우리나라의 수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 2015년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을 때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 비중은 2013년 48.1%에서 2017년 44.5%로 하락했고, 지난해 12월에도 미국이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시행하자 올해 2월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 비중은 지난해 12월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
보고서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달러 결제 수입비용을 증가시켜 수출채산성도 악화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현재 수입 거래에서 약 78을 차지하는 달러화의 강세가 장기화하면 비용 부담이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전체 수입에서 1차 생산품과 중간재 수입비중이 73%인 한국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미국 금리 인상 여파로 국내 기업대출 금리가 상승하는 점도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
주변 국가들의 움직임도 한국 수출을 힘겹게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상하이 등 중국의 일부 지역 봉쇄에 따른 운임 증가나 수출 부대비용 증가세도 심상치 않다. 일본 정부가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는 양적 완화를 시행하면서 엔화 가치도 급락, 우리나라와 일본 간 가격 경쟁이 심화할 수 있다.
보고서는 미국이 다음 달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지상 연구위원은 “정부와 수출기관들이 중소 수출기업의 낙후된 납품단가 환경을 개선하고 해외공동물류센터와 해외 내륙운송 지원 등 실질적인 물류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