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산 기자의 '아이들은 왜 산에 갔을까?' 발간
'임시공휴일에 사라지다'부터 '공소시효와 태완이법'까지 7부에 걸쳐 사건 재조명
"첨단기법을 동원한 경찰의 재수사가 꼭 필요"
국내 최대 수사 인력이 동원됐으나 결국 미제사건으로 남은 '개구리 소년 변사사건'의 사인을 비교·분석한 현직 기자의 추적기가 발생 31년이 되는 3월26일을 앞두고 발간됐다.
국민일보 대구경북본부장인 김재산 기자는 '아이들은 왜 산에 갔을까?'(부제 개구리 소년 변사사건 30년 추적기)라는 제목의 책에서 7부에 걸쳐 사건을 재조명했다.
제1부 '임시공휴일에 사라지다'에서는 경찰이 집단가출로 판단하고 오락실과 만화가게 등 대구 시내 일원을 수색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당시 노태우 대통령은 "아이들을 돌려보내면 관용을 베풀 것"이라는 특별담화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목격자들의 증언은 달랐지만, 경찰은 아이들이 앵벌이 조직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했다.
2부 '허위제보만 넘쳐나다'에서는 각종 허위제보로 인해 경찰력이 낭비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납치범으로 몰렸던 경북 칠곡농장 주민들의 집단 반발과 종식이 아버지 김철규 씨를 범인으로 지목한 카이스트 김가원 교수의 해프닝, 무속인들에게 끌려다닌 당시 수사본부의 상황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3부 '유골로 돌아오다'에서는 11년 6개월 만에 아이들의 유골이 집 근처 와룡산에서 발견되자 사인을 '저체온사'로 주장한 경찰의 성급함과 사인을 타살로 판단한 전문가들의 주장, 야산에서는 조난 당할 가능성이 없다는 사람들의 주장이 이어진다. 유골 발견 당시 "엉성하게 대처해 사건의 단서를 사라지게 했다"는 비난을 받은 경찰은 “발굴 현장을 훼손하지 않았다”고 항변했다.
4부 '살해범은 누구일까'에서는 아이들 주변 인물과 도사견 사육자, 50사단 군인들이 수상하다는 당시 수사본부의 수사상황을 들려주고 있다. 또 미군 병사가 범인이라는 네티즌의 주장, 분노조절장애자가 범인이라는 전문가의 주장, 프로파일러들이 말하는 범인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짚고 있다.
5부 '미안하다 아들아'에서는 실종된 지 13년 만에 치러진 아이들의 영결식, 아들 잃은 슬픔을 안고 하늘나라로 떠난 종식이 아버지 김철규 씨의 애틋한 이야기, 저체온사를 음모론으로 몰고 간 방송사의 황당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6부 '저체온사가 확실하다'에서는 이 사건의 사인이 저체온사라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범행동기와 도구가 없고, 두개골 상처는 사후에 생긴 것이라고 강조한다. 또 경찰은 사건 초기 유골 발견 지점을 수색하지 못했고 사체 역시 매장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당시 법의학팀의 감정 결과는 정치적이었다는 의견도 다루고 있다.
마지막 7부 '공소시효와 태완이법'에서는 이 사건이 왜 변사사건인가를 정리하고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한 유가족들에게 김영규 전 총경이 편지를 보낸 사연 등을 소개하고 있다. 또 '살인죄 공소시효 폐지'를 주장한 유족들의 힘이 '태완이법'을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이유와 와룡산에 소년들의 추모비가 세워진 까닭, 대구경찰청의 재수사 전망을 평가하고 있다.
대구경찰청을 출입하던 저자는 1991년 3월 26일, 사건 발생 당시부터 달서경찰서는 물론 아이들이 살던 마을과 학교, 와룡산 등 현장을 뛰어다니며 취재를 시작했다.
저자는 사건 발생 초기 경찰이 '집단 가출한 아이들은 앵벌이 조직의 일원으로 생활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서울에 대규모 형사들을 파견하자 실종 어린이 가족과 함께 동행취재를 하기도 했다. 또, 한 범죄심리학 박사가 다섯 아이 가운데 한 명인 김종식(당시 9세) 군 아버지 김철규 씨가 아이들을 살해한 뒤 사체를 집 주변에 묻었다고 주장해 경찰이 발굴작업을 진행할 때도 직접 현장을 지켜봤다.
저자는 아이들의 사인을 '저체온사'라고 자신 있게 주장하는 퇴직 경찰관 김영규(사건 당시 대구경찰청 강력과장) 전 총경을 집중적으로 인터뷰한 것이 책을 쓰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저자는 최근 5년 동안 이 사건과 관련된 전·현직 경찰관, 법의학자, 유족 등과 만나 인터뷰하면서 아이들의 사인이 '타살'인지, '저체온사'인지를 비교·분석했다. 그는 "명확한 사인을 가리기 위해서는 첨단기법을 동원한 경찰의 재수사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년퇴직을 앞둔 저자는 "대중들에게 '살해 암매장 사건'으로 각인된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누군가는 정리해 줘야 한다는 생각에서 용기를 냈다"며 "경찰의 재수사로 사건의 진실이 오롯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구리 소년 변사사건은 1991년 3월 26일 대구 성서초교 학생 다섯 명이 도롱뇽알과 탄피(탄두)를 줍기 위해 집을 나섰다가 실종된 지 11년 6개월 만인 2002년 9월 26일 마을 인근 와룡산 중턱에서 유골로 발견된 사건이다.
논란 끝에 경북대 법의학팀이 사인을 타살로 발표했으나 범인 검거는 고사하고 범행 도구조차 특정하지 못했다. 결국 2006년 3월 25일 자로 공소시효가 만료됨에 따라 미제사건으로 남았다. 아이들을 찾기 위해 32만명의 경찰력이 동원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