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금융청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여성 관리직 비율'을 공개하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라고 아사히신문이 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금융청은 기업 간부나 기관투자가 등으로 팀을 만들어 남녀 성별 임금 수준을 공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팀 내에서는 “여성 활약과 기업 실적은 장기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투자가에는 유용한 정보”라는 점에서 이를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잇따랐다. 이미 자사 웹사이트 등에서 공개하는 기업들이 있으며, 도쿄 증권거래소도 여성 관리직 등용 상황 등을 기업이 설명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총무성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관리직 종사자 중 여성 비율은 2020년 13.3%다.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30~40% 수준이 많아 일본이 두드러지게 낮은 편이라고 신문은 보도했다. 또 후생노동성의 ‘여성 활약 추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퍼스트리테일링(39.2%), 다이이치생명보험(27.5%), 미쓰비시UFJ은행(21.8%) 등 유통이나 금융회사는 여성 관리자 비율이 비교적 높지만, 일본제철(1.1%)이나 스미토모금속광산(1.5%) 등 이른바 ‘중후장대’ 산업에서는 비율이 극히 낮았다.
한편 ‘세계 여성의 날’인 이날 일본 여성의 지위가 세계적으로 매우 낮다는 지표가 잇따라 발표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의 남녀 임금 격차가 매우 크다며, 경제성장을 막는 요인이라고 보도했다. 2020년 일본의 풀타임 근로자 임금 평균은 남성이 33만8,800엔(약 361만 원), 여성이 25만1,800엔(약 268만 원)으로 여성이 남성의 75%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일본보다 남녀 임금 격차가 큰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신문은 일본의 남녀 임금 차이가 큰 이유로 △관리직과 의사·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에 여성이 적은 점 △여성의 취업률이 70%에 달하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54%에 달해 남성(22%)의 2배 이상인 점 등을 들었다. 신문은 “성별 임금 격차가 큰 나라일수록 노동생산성이 낮고 경제성장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이날 발표한 ‘유리천장 지수’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OECD 29개 회원국 중 나란히 28, 29위를 차지하며 최하위 수준이다. 이 지수는 남녀의 고등교육 격차, 소득 격차, 여성의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의 비율, 육아 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 세부 지표를 종합해 매년 산출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