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슨 '1월 6일 위원회' 위원장, IT 기업 대상 공개 서한
극우파 의회 난입에 은연중 동조했단 시각 내비쳐
FBI, 의회 난동 배후 극우파 지도자 체포해 기소
지난해 1월 6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 인증을 막기 위해 친(親)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국회의사장에 침입한 이른바 ‘1ㆍ6 폭동’ 사건을 조사 중인 미 하원 조사위원회가 정보기술(IT) 공룡 기업들을 상대로 소환장을 발부했다. 2020년 대선과 관련된 가짜뉴스가 확산되는 데 IT 기업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기록을 요구하는 차원이지만 해당 기업들이 폭동에 은연중 기여했다는 시각도 깔렸다.
베니 톰슨(민주당) 하원 '1월 6일 위원회' 위원장은 13일(현지시간) 트위터와 레딧, 메타(페이스북ㆍ인스타그램 모회사), 알파벳(구글ㆍ유튜브 모회사)에 지난해 1월 6일 국내 극단주의 폭력집단에 의사당 난입을 선동하고, 2020년 대선에 관한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데 무슨 역할을 했는지에 대한 기록을 요구하는 소환장을 보냈다고 밝혔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톰슨 위원장은 공개 서한에서 △어떻게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폭력적 극단주의로 우리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을 가하는 데 기여했는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업들이 어떠한 예방조치를 취했는지에 대해 물었다.
위원회는 IT 공룡 기업들이 친트럼프 세력과 극우파 등 의회 난입 세력에 은연중 동조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톰슨 위원장은 유튜브가 당시 의사당 난입 계획과 실행에 필요한 주요 통신문을 게재했다며 “공격의 현장 장면을 실시간 보여준 것”도 문제라고 짚었다. 또 페이스북이 사용자들의 증오와 폭력을 조장하는 메시지를 퍼뜨리는 데 이용됐고, 레딧 역시 의사당 공격을 주도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는 토론장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몇 달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회사들이 자발적으로 필요한 정보와 서류를 제출하지 않고, 조사하는 의원들의 핵심 질문에 응답하지 않는 데 실망했다”며 “더 이상 (조사) 작업 지연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앤디 스톤 메타 대변인은 CNN방송에 보낸 성명에서 “메타는 위원회가 요청한 일정에 따라 문서를 제출했으며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글 측도 성명을 발표해 “(위원회 활동에) 적극 협력해 왔으며 문서 요청에도 실질적으로 응답했다”며 “유튜브 및 구글은 1월 6일 폭력을 선동하거나 선거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는 콘텐츠를 금지하는 엄격한 규칙이 있다”고 말했다. 레딧 역시 “요청에 대해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트위터 측은 논평을 거부했다고 미국 경제 전문 방송 CNBC는 전했다. 기업들은 요청한 대로 자료 제공에 응했지만 또다시 소환장을 받은 것에 대해 에둘러 불만을 표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의사당 난입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극우단체 ‘오스 키퍼스’의 지도자가 미 연방수사국(FBI)에 체포 후 기소됐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스튜어트 로즈 오스 키퍼스 창립자가 전날 체포됐으며, 연방 검찰이 로즈 등 오스 키퍼스 회원 10여 명을 선동 음모 혐의로 기소했다고 전했다. 로즈는 의사당 난입 사태 이틀 전 오스 키퍼스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위해 봉기할 것을 촉구했으며 사건 당일 의사당 내부로 진입하진 않았지만, 의사당 내 오스 키퍼스 회원들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지휘를 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2020년 11월 대선 직후에는 회원들에게 시가전에 대비해 총알을 준비하라고 하는 등의 메시지를 전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동 음모죄가 유죄로 인정되면 최고 20년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NYT는 덧붙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