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규모 3.2 최대 여진 '섬 흔들'
피해는 없지만 ‘지진 공포’ 심화
기상청 "몇 달 더 흔들릴 수 있다"
“지진은 제주와 상관 없을 줄 알았는데... 불안하네요, 불안해."
지난 14일 제주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4.9 지진 발생 후 크고 작은 여진이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불안에 떨고 있다. 제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지역 사회도 술렁이고 있다.
17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22분 10초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38㎞ 해역에서 규모 3.2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14일 발생한 규모 4.9 지진의 18번째 여진으로, 가장 규모의 진도다. 이전까진 15일 오후 3시 6분 발생한 규모 2.8 지진이 최대 규모 여진이었다.
제주에서는 계기진도가 3으로 나타났다. 계기진도는 관측된 진도 값과 지진파를 토대로 산출된 진동의 세기다. 계기진도 3은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은 현저히 느끼며 정지한 차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다. 이날 지진으로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고,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에 접수된 지진 신고도 2건에 그쳤다.
그러나 지난 14일 도민 상당수가 지금까지 경험해본 적 없는 지진의 공포를 체험한 후이어서, 규모 3.0이 넘는 여진 발생 소식이 알려지자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기상청은 앞으로 수개월에서 1년가량 여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제주시에 거주하는 주부 이모(53)씨는 “14일 지진 진동이 잊혀지지 않는다. 불과 몇초도 되지 않은 짧은 시간이었지만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은 순간”이라며 “지난 경주와 포항 지진 때 그곳 주민의 마음을 이제야 이해할 것 같다”고 말했다.
초유의 중급 규모 지진 발생에 이어 여진까지 계속되고 있지만, 도내 건축물 상당수가 지진에 약한 상황이어서 우려가 높다.
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내 민간 건축물 20만6,771동 중 내진 대상 건축물은 7만2,859동이다. 이 가운데 내진 성능이 확보된 건축물은 4만4,023동(60.4%)이다. 도내 공공 시설물 1,111동 중 내진 성능이 확보된 건축물도 674동(60.7%)에 머물고 있다. 제주지역 내진 설계 의무화 건축물 10동 중 4동은 아직도 지진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는 보강 작업이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이는 사용승인 당시 내진 설계 의무화 대상이 아니었다가 법이 개정되면서 의무화 대상에 포함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17년 건축법이 개정되면서 연면적 200㎡ 이상인 2층 이상 건축물은 의무적으로 내진 설계를 하도록 했다.
도 관계자는 “2025년까지 전체 공공 시설물의 70.1%에 대한 내진 보강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도내 내진 대상 건축물이 내진 성능을 빠르게 갖출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