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서울 영등포 문래동 복판에선 '국지적 홍수'가 있었다. 땅 속의 낡은 상수도관이 터진 것이었다. 치솟은 ‘흙탕물’에 놀라 모여든 사람들은 이내 다시 한번 더 놀랐다. 흙탕물이 아니라 녹물이었다. 삭을 대로 삭은 관이 터지기 전 주변 주택가 수도꼭지에서 나오던 물과 같은 색이었다.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한층 더 키운, 대형 참사였다.
실제 환경부가 지난달 전국 161곳 지자체 7만2,460가구를 대상으로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서도 이 같은 현실은 그대로 반영됐다.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강화돼야 할 정책으로 '노후된 수도관 교체(27.8%)'가 꼽혔다.
사고 발생 2년이 지난 지금, 서울시는 관내 노후 상수도관 3년 내 전면 교체를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일 “수화 및 누수 사고 위험이 높은 35년 이상 된 수도관 455㎞에 대해 교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2024년까지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총 6,736억 원이 투입되는 대공사다.
2009년부터 진행한 관경 350㎜ 이하 상수관로(700㎞)에 대한 물 세척은 비롯, 대형 상수관에 대한 물청소도 한층 강화했다. 올해 4월 상수도 관망관리 의무화에 따라 400㎜ 이상 대형 상수도관에 대해서는 고압수, 브러시 회전 등 기계 세척도 진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상수관로에 대한 세척을 전국 처음”이라며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맑은 수돗물 공급을 위해 혈관처럼 뻗은 상수도관 전 구간을 서울시가 세척, 교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 이에 주택 노후 수도관에 대한 교체 지원도 병행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교체 비용을 전체 공사비의 최대 80%,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한다”며 “1994년 4월 이전 건설돼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을 급수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택이 지원 대상”이라고 말했다. 다가구 주택은 가구 수별 차등해 최대 500만 원,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가구당 최대 140만 원, 단독주택은 최대 150만 원이다.
서울 시내 수도관 교체가 필요한 가구는 약 56만5,000가구다. 이 중 47만여 가구의 낡은 수도관이 교체됐다. 시는 교체가 필요한 잔여 가구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김태균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상수도 관망관리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며 “건강한 아리수를 각 가정에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