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가 최근 공개된 정부의 탄소중립 달성 목표 재설정으로 고용과 매출 감소폭이 우려된다며 별도 지원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 1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탄소중립, 자동차 산업의 미래' 주제로 열린 '2021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전기차·수소전기차 비중을 30%까지 올리게 되면 부품 기업이 10% 이상 사라지고, 3만5,000여 명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호소했다. 2030 NDC 상향안은 2018년 대비 수송분야 탄소배출량을 37.8% 감축하는 것으로, 기존 계획 대비 9.7%포인트 강화됐다.
김 상무는 특히 중소 부품업체들이 친환경차 전환 과정에서 대거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에 따르면 매출 500억 원 미만의 국내 부품업체 중 미래차 전환 준비가 된 곳은 16.1%에 불과한 가운데 59.8%는 계획조차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엔진, 변속기 등을 생산하는 부품업체 중 3분의 2 이상(68.2%)은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 매출 축소를 염려했다.
김 상무는 "부품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평균 32.8개월, 약 13억1,500만 원의 투자가 필요한데, 중소 부품사들엔 부담이 되는 수준이다"며 "게다가 완성차부터 1, 2, 3차 협력사로 수직 계열화된 국내 자동차 산업의 특성상, 부품업체가 선도적으로 기술개발이나 시설투자에 나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김 상무는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자동차 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정부의 기술·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또 배터리, 수소, 소프트웨어(SW) 등의 분야에서 인재채용과 내연기관차 인력의 재훈련을 위한 정부의 지원도 요청했다. 김 상무는 "장기 저리 특별 금융프로그램이나 특별투자펀드를 조성해 중소 부품업체들의 미래차 기술개발이나 시설투자에 적극 나설 수 있게 도와주면 좋겠다"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별대책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장은 자동차 업계에 자금, 기술, 인력, 공정 등 '4대 지원수단'을 확충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특히 미래차 투자 기업엔 연 1,700억 원의 저리 금융을 공급하고, 5,000억 원 규모의 미래차 투자펀드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해 2025년까지 1조6,000억 원 규모의 R&D 비용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 과장은 "친환경차 수요·공급 혁신을 통해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을 가속화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며 "미래차 부품 기업 1,000개 육성 등 미래차 중심의 산업 생태계 전환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